국회는 1일부터 8일 일정으로 후반기 국정감사를 시작했다. 그렇지만 김이 빠진 모양새를 감출 수가 없다. 청와대와 여당 사이 갈등이 폭발하면서 국민적 관심이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입에 집중되고 있는데다 여야 의원들이 차기총선에서 자신들의 전쟁터가 될 선거구획정과 공천방식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정감사 쟁점도 공천방식 및 선거구획정으로 옮겨가고 있다. 따라서 추석 후 집권세력 내 권력투쟁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양상이다. 총선을 앞두고 내분은 이미 예고된 것이지만 갈등은 예상보다 빨리 찾아왔다.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 도입 때문이다. 친박계는 이를 두고 야당과 합의한 김무성 대표를 집중 공격했고 청와대까지 가세했다. 이에 김 대표와 청와대가 유승민 사태로 겨우 갈등을 봉합한듯하더니 다시 충돌궤도로 진입한 느낌이다. 본질은 뻔하다. 공천권을 누가 행사하느냐다. 새누리당은 중진연석회의와 의원총회에서 이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따라서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질 가능성도 있다. 할 일이 태산 같건만 집권세력의 권력다툼을 보는 국민들은 과연 어떻게 받아들일까? 여야 대표 합의과정에서 내부의견 수렴이 제대로 안된 점은 옳지 않았다.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에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밝혀 왔다.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자는 측면에서 취지는 좋은 것 같으나 오픈프라이머리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차이가 있다. 더욱이 공천 룰은 폭발적인 사안이다. 아무런 당내 논의나 협의 없이 야당대표와 합의하는 것은 친박계의 원성이 나올 만도 하다. 그러나 안심번호 여론조사는 새누리당도 이미 일부 적용한 적이 있다. 정치개혁특위 소위원회에서는 여야 합의로 안심번호 여론조사 도입을 담은 공직선거법개정안까지 통과된 상황이다. 무조건 비판은 좀 지나쳐 보인다. 청와대도 가세했다. 민심왜곡, 조직선거, 세금공천 등을 이유로 합의를 공개 비판했다. 그러나 여당 공천 룰에 청와대 관여는 바람직하지 않다. 역 선택, 조직력 동원 등은 당론인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에서도 우려됐던 문제다. 자칫 대통령이 공천까지 관여하느냐는 논란이 비춰지면 득이 되지 못할 것이다. 아무튼 지금은 민심을 외면한 채 밥그릇 싸움을 벌일 때가 아니다. 새누리당은 공천제도 확정 특별논의기구를 신설키로 한 만큼 이 기구에서 원만한 해법을 찾길 바란다. 여야 할 것 없이 공천과 당권, 대권을 놓고 권력투쟁만 벌이는 것은 국민을 무시한 무책임한 처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