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7일 대구 달서구 대천동 지하저류조안에서 폐기물 준설작업을 하던 인부 4명이 유해가스에 질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10일에는 대구 북구 노원동 모 금속업체 폐수처리조에서 작업을 하던 환경업체 및 금속업체 직원4명이 질식하여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밀폐된 공간의 질식사고가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아 해마다 귀중한 생명을 잃고 있어 너무나 안타깝다. 우리나라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전국적으로 질식사고가 150건 발생되어 259명이 질식해 200명이 사망하여 약 77.2%로 아주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으며 발생장소로는 오폐수처리장과 맨홀이 각각 24%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시기적으로 여름철에 기온 상승과 높은 습도로 인해 미생물 번식이 활발해 지면서 산소결핍과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에 의한 질식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유해가스가 공기보다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바닥에 체류하고 있어 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공기중에는 약 21%의 산소가 있는데 산소농도가 18% 미만이 되면 호흡과 맥박이빨라지고 두통이나 어지럼증, 구토 증상이 나타나고 10% 이하에서는 실신하여 수분 내에 호흡이 정지되고 사망할 수 있다. 또한 사고를 당한 동료를 구조하기 위하여 아무 준비 없이 밀폐된 공간에 들어갔다가 함께 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많아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감시인을 배치하고 호흡용 보호장구 없이 직접구조에 나서지 말고 신속히 119에 구조를 요청하여야 한다. 그렇다면 질식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예방법은 간단하다. 첫째, 밀폐된 공간에서의 작업은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필히 측정한다. 둘째, 공기 주입 및 송배풍기를 활용하여 충분한 환기를 실시한다. 셋째, 밀폐된 공간에서는 반드시 공기호흡기 등의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이 세가지 안전수칙만 준수한다면 밀폐된 공간의 질식사고는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질식사고의 위험이 있는 작업장소에 대한 충분한 안전조치와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길만이 우리의 귀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일임을 명심하자. 도기은 성주소방서 예방홍보담당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