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영천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이제는 경북도 전역으로 확산조짐을 보이고 있다. 구제역이 어느 지역에서든 딱 한번이라도 발생한다면 경북도 전역에 걸쳐 방역에 최선의 행정력을 발휘해야 마땅하다. 그럼에도 영천을 중심으로 한 방역에 행정력을 기울이는 요 며칠 사이에 경북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판세이다. 구랍(舊臘) 30일에 영천에서 구제역이 발생할 때부터 다른 지역까지로 구제역이 발생한다는 것은 하나의 상식에 속한다. 방역 행정에 허점이 그대로 드러난 셈이 아닌가. 경북도가 충북 진천 돼지농가에서 최초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차단방역에 총력을 쏟았지만 역부족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경북도 구제역 방역체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말았다. 특히 축산 농가는 4년 전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 악몽이 재연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등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경북도도 구제역에서 구멍이 뚫렸다고 봐야 한다. 구제역의 전염력에다 행정의 늑장 대응으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묻고 싶다. 경북도는 구제역 의심 증상을 보인 의성과 안동 양돈농장의 돼지를 정밀 검사한 결과 구제역 양성으로 판명됐다고 지난 4일 밝혔다. 경북지역 구제역 현황은 지난해 말 발생한 영천에 이어 3곳으로 늘어났다. 3곳으로 늘었다고는 하지만 벌써 경북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고 봐야겠다. 경북도 전체가 구제역 청정지역이 아니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3일 의성 돼지농가에서 사육중인 2,330마리 가운데 어미돼지 32마리에서 콧등 수포가 발견됐다. 1,350마리를 사육하는 안동시 돼지농가에서도 비육돈 40여 마리에서 수포와 발굽출혈 증상이 보였다. 경북도는 즉시 방역당국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증상을 보인 돼지들에서 O형 구제역 양성반응이 나타났다.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난 의성 농장으로부터 반경 500m 이내에 9가구에서 소 470마리를 키우고 있다. 반경 3㎞ 이내에는 142가구에서 1만5,256마리의 소, 돼지, 염소, 사슴 등을 키우고 있다. 안동은 반경 3㎞ 이내 84가구에서 1만482마리의 소, 돼지, 염소를 사육중이다. 방역당국은 확산방지를 위해 의성 농장은 돼지 32마리와 사슴 6마리를, 안동 농가는 돼지 200여 마리를 ‘살 처분’했다. 살 처분이 능사가 아니라 해도 지금으로썬 최선의 방법이다. 구제역은 행정 구역이 따로 없다. 경북도가 구제역 청정지역이 아님이 드러난 이상 구제역 행정은 보다 발 빠른 구제역 방제 광폭 행정을 펼쳐야 한다. 경북도뿐만이 아니라 경북도와 인근 지역의 모두를 포함해 ‘구제역 방역망’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축산 농민들이 구제역을 방지해야겠다는 의식전환의 자구노력도 반드시 있어야 한다. 구제역 행정과 자구노력이 함께 할 때에 경북도가 구제역 청정 지역이 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