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은 바다도시이다. 이 같은 도시라면 해양관광산업을 육성해 바다자본을 어떻게든 살려 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또한 바다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포항시가 보다 잘사는 지역이 된다. 그래서 포항시도 해양관광산업육성을 경제행정의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써 영일대 전망대를 만들어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이러한 영일대 전망대 해상누각대가 곳곳에 균열이 발생해 관광객들이 안전하지 못하는 쪽으로만 가고 있는 처지이다. 그럼에도 포항시가 이를 그대로 방치함에 따라 영일대 전망대의 해상누각대가 관광객들에게 안전 불안을 조성하고 있다. 이게 어제 오늘이 아님에도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는 바람에 포항시민들은 물론 외지에서 온 관광객들에게까지 포항시가 안전도시가 아니라는 빈축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있는 판이다. 포항 영일대 해상누각의 안전문제가 또다시 불거지면서 안전 불감증이 심각한 지경이다. 이곳에 주말이면 하루에도 수천 명이 관람하는 포항의 대표적 명소가 영일대 해상누각이다. 그럼에도 안전문제가 도마 위에 오른 게 처음이 아닌 게 더욱 문제이다. 최근 영일대 해상누각 곳곳에서 균열현상과 난간 사이가 너무 넓어 자칫 익사사고 우려가 도사리고 있다. 이번에는 전망대 내부 바닥파손으로 인명피해 위험까지 부르고 있다. 난간 사이가 너무 넓은 것은 당초의 설계 잘못이다. 설계가 안전을 위해 촘촘했다면 보다 안전했을 것이다. 바닥의 파손도 역시 당초 설계가 잘못된 것에 크게 원인한다고 본다. 그렇지만 잘못된 것을 알았다면 포항바다 관광의 안전을 위해 포항시가 곧바로 나서야하는 것이 포항시의 큰 책무이다. 실제로 지난 25일 오전 포항 영일대해수욕장 전망대를 찾은 한 어린이가 2층에서 사진을 찍던 중 나무 바닥이 부러지면서 하체가 바닥 밑으로 빠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사고로 간신히 추락 사고를 면했다. 하지만 인명피해가 발생될 뻔 했다. 이번 사고로 영일대 전망대의 부실시공 논란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지난 7월부터 포항시민들과 관광객들의 여론에 따라 영일대 전망대의 부실시공 의혹과 안전문제를 수차례 지적해 왔다.(본보 지난 7월 23일자 5면 등) 여기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부실시공의 지속성을 가진 여론이다. 부실시공 여론이 지속적으로 일어나 안전도시 만들기를 위협한다면 포항시가 그냥 방치로 일관한다면 포항시는 불안도시이다. 더하여 포항시에 안전사고가 날수가 있다는 괜스런 여론만 조성될 뿐이다. 따라서 해양관광산업육성도 성취되지 못하고 만다. 포항시는 여론에 따른 언론의 수차례에 걸친 안전지적을 받았다. 국가적 안전구호에도 불구하고 사고발생을 미리 막지 못한 것에 대해 오히려 방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국가적인 안전차원이 아니라 해도 포항시가 안전을 위해 나서야 한다. 더욱이 안전이 국가적인 차원이라면 포항시가 곧바로 조치하지 않는다면 국가의 안전 정책에 역행함이다. 이에 대해 포항시는 “맞춤형으로 만든 나무누각이기 때문에 틈이 벌어져 발생된 사고이다. 보수를 완료했다”고 전했다. 포항시의 해명에서 도대체 무엇과 맞춤형인가. 시민들과 관광객들은 안전맞춤형을 바라고 있다. 보수를 완료했다는 것에도 의혹을 제기한다. 나무 조각은 우선 보기에는 좋다고 치자. 그러나 나무의 속성상 풍우(風雨)에 취약하다. 이렇다면, 고침에서 근본적인 처방이 결코 아니다. 포항시 안전도시 만들기, 해양관광산업육성 등은 행정목표이다. 포항시는 안전을 위해 지체 없이 안전행정력을 발휘해야 한다. 안전이 해양관광산업의 육성까지도 담보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