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18일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이하 ‘공노총’)과 면담하고 공무원연금 개혁에 대한 설득에 나섰다.
김 대표는 전날 공무원 퇴직자 대표단을 면담하는 등 잇달아 관련 단체들을 만나며 공무원연금법 개정안 연내 처리에 온힘을 쏟고 있다.
이달 초 김 대표는 공노총이 소속돼 있는 ‘공적연금 개악 저지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과 면담했지만 설전만 벌이다 30분 만에 대화를 중단해야 했다.
이날 공무원노조를 다시 만난 김 대표는 면담에 앞서 “1966년도 연금 시행 당시 사회 환경과 지금은 너무나 큰 차이가 나고 당시 미래 예측도 잘못됐다”면서 “현재 연금을 유지할 수 없어 부족액을 국민들이 부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협조를 당부했다.
김 대표는 “당시 공무원들의 박봉을 감안하고 은퇴 후 보답을 받으라는 뜻에서 만든 제도인데 상황이 바뀌었다고 개정한다는 것이 참 염치없는 일”이라며 “하지만 더 이상 유지가 안돼서 같이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본의 아니게 공무원 여러분의 자존심을 건드리고 감정을 상하게 한 부분, 잘못된 것은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오해가 있은 부분은 풀고 가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면서 “국민들을 위해서 좋은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한 회의인 만큼 무슨 말이든지 잘 듣고 반영할 수 있는 한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공노총 측은 사회적 협의체 구성을 다시 강력히 요구했다.
류영록 공노총 위원장은 “일방적으로 이해당사자에게 물어보지도 않고 밀어붙이니 갑갑하고 서운하고 화도 난 것”이라면서 “아무리 바빠도 이건 세대 간 문제 등 아주 다양한, 복합적 문제가 있기 때문에 고민하고 고민해 100년 이상 내다보는 결과를 준비해야 하는데 너무 급하다”고 지적했다.
류 위원장은 “언론마저 진실을 다 가리고 재정적자, ‘세금먹는 하마’로만 비유해서 공무원들의 자존심을 건든 것은 잘못됐다”면서 “사실 연금안 자체를 왜 여당에서 다루는지, 절차 문제도 많다”고 말했다.
또 “사회적 협의체를 구성하자는 데 못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면서 “국민과 함께 고민해볼 수 있도록 사회적 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다시 한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새누리당은 공노총의 요구를 받아들여 ‘공무원연금 및 처우개선 관련 제도개선을 위한 당ㆍ정ㆍ노 실무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권은희 대변인은 회동 후 브리핑에서 “오늘 면담에서 서로 간의 오해와 우려 등에 대해 충분히 토의했다”면서 “실무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고, 구체적인 추진은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과 대한민국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안영근 사무총장이 협의를 추가로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