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의 첨단산업 교육과 R&D, 취업을 연계하는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인 ‘경북산학융합지구’가 문을 열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경북도는 12일 구미시 신평동 경북산학융합지구에서 국가산업단지 내 대학 산업단지캠퍼스와 기업연구관을 건립하는 ‘경북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준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심학봉 국회의원, 산업통상자원부 김성진 지역경제정책관을 비롯해 경북도의회 윤창욱 부의장, 최종원 구미시 부시장, 금오공과대학교 김영식 총장(경북산학융합본부장)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산학융합지구는 그 동안 대학과 기업이 공간적으로 이원화된 산학협력 구조에서 공간적 통합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해 현장에 즉시 투입 활용할 수 있는 현장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추진한 사업이다.
이번에 산학융합지구가 준공됨에 따라 구미 첨단산업단지의 우수 인력 공급은 물론 미스매치(mis-match) 해결과 청년취업률 제고를 위한 여건이 마련됐다.
2011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추진진 사업은 어2012년 9월 칠곡기업연구관 착공을 시작으로 1년 6개월여의 공사기간을 거쳤다.
총연면적은 2만4600㎡에 이르며 약 23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산업단지캠퍼스(3동)와 기업연구관(2동)을 조성, 국내 IT산업의 28% 수출을 담당하고 있는 구미국가산업단지에 우수한 산업인재를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4개 대학이 전기전자, 의료기기, 모바일, 메카트로닉스 등 산업단지가 필요로 하는 첨단산업분야 인력, 장비, 제품개발 등에 대한 기업의 수요를 참여대학 간 역할분담과 협력을 통해 산학협력의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역점사업으로는 ▲현장맞춤형 교육을 통해 우수한 산업인재를 양성 ▲기업체 재직자 교육과 공동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기업 경쟁력 강화 ▲다양한 기업지원 사업을 통해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을 육성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 육성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게 된다.
김호섭 도 창조경제과학과장은 “경북산학융합지구 조성을 통해 산학융합 수요가 큰 경북도와 구미시 산업단지에 대학과 기업간 연구개발 및 기업체가 원하는 인재양성의 구심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확대를 도모하는 새로운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재현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