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간의 한·미 정상회담이 11일 오후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렸다. 제22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베이징을 방문 중인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베이징 외곽 옌치 호텔에서 열린 APEC 정상 업무 오찬 참석 뒤 호텔 회의실에서 만나 "두 나라 사이의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두 정상 간의 이날 회담 의제 및 내용 등은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일단 양국 동맹관계와 더불어 한·미 간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시기 재연기 등과 관련한 한반도 안보상황, 북핵 위협에 대한 공조 대응 방안, 북한 인권문제,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 등이 두루 논의됐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또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 대응이나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 등 국제 안보현안에 관한 사항도 이날 회담에서 다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두 정상의 이날 회담 시간이 채 20분도 걸리지 않은 `약식`으로 진행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양국 간 당면 현안 등에 관해 `밀도 있는` 대화보다는 큰 틀에서의 의견 교환이 이뤄졌을 것이란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APEC 회의 관련 일정표상으론 이날 정상 업무 오찬은 현지시간으로 낮 12시15분부터 오후 1시45분까지 진행됐고,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이후 정상회담을 한 뒤, 오후 2시부터 옌치후(雁栖湖) 국제회의센터(ICC)에서 진행된 APEC 정상회의 2세션에 참석했다. 그러나 민 대변인은 "`두 정상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유익한 협의를 했다`고 회담 배석자가 전해왔다"고 밝혔다. 이날 한·미 정상회담엔 우리 측엔 윤병세 외교부·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 등이 배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선 APEC 회의 참석 수행원 등 회담 배석자들이 복귀하는 대로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 간의 양자 정상회담이 열린 건 취임 후 이번이 세 번째. 두 정상은 작년 4월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과 올 4월 오바마 대통령의 방한 때 각각 양자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또 올 3월엔 핵 안보 정상회의 참석차 두 정상이 네덜란드 헤이그를 방문했을 당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까지 포함한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했었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