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30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의 본회의 교섭단체대표연설에 대해 “어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회동으로 온기가 돌기 시작한 국회 아궁이에 오늘 여야 대표 두 분은 열심히 장작을 밀어넣었다”고 밝혔다.
박대출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문 위원장의 연설에 대해선 “다양한 주제를 담은 백화점식 나열에, 나름대로 구체성과 대안을 찾아보려는 의욕도 읽혀진다”고 평가했다.
박 대변인은 또 “문 위원장은 원고에도 없는 ‘고통분담’을 강조해서 김무성 대표의 사회적 대타협 제의에 화답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다만 ‘국회 아궁이’를 언급하면서 “김 대표는 ‘마른 장작’을 골라서 넣었고 문 위원장은 마른 장작에 ‘젖은 장작’도 섞어 넣은 게 아닌가 하는 인상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이 경제를 다시 세울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는 박 대통령의 진단에 두 대표는 전적으로 공감하면서도 방법론에서는 차이를 보였다”며 “김 대표는 경제에 ‘올인’(다걸기)한 박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성’을 좀 더 기울였고, 문 위원장은 박근혜정부의 경제기조를 바꾸려고 ‘야성’을 좀 더 기울인 거 같다”고 비교했다. 이와 함께 박 대변인은 새정치연합을 향해 “생산적인 야당이 있어야 생산적인국회가 가능하다”며 “견제도 비판도 야당의 중요한 기능이지만 협력과 지원도 아끼지 않는 야당이 있을 때 국회도 살고, 국민도 산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정기국회가 한 달 남짓 남았다. 지금 국회에는 야당의 협력과 지원이 절실한 법안과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며 “반대를 위한 반대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는 문 위원장의 다짐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실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