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당 쇄신안 논란 과정에서 또 다시 ‘정면돌파’ 승부수를 던졌다.
유승민 원희룡 남경필 최고위원 등 지난 7ㆍ4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최고위원 5명 중 3명이 7일 최근의 ‘디도스 사태’를 계기로 전격 사퇴하면서 ‘홍준표 퇴진’을 요구했지만, 홍 대표는 기자회견을 통해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지만 책임감 있게 행동하겠다”며 즉각 사퇴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홍 대표는 재창당 계획까지 언급하면서 당 쇄신을 주도해 나가겠다는 의지도 표명했다.
지난달 29일 쇄신 연찬회에서 당 쇄신파를 중심으로 제기된 ‘홍준표 퇴진론’에 대해 “ ‘박근혜 전 대표가 당 대표로 복귀해 쇄신과 총선을 지휘해야 한다’는 게 대다수 뜻이라면 대표직에서 물러날 수 있다”고 배수진을 치며 재신임을 자청한데 이은 두 번째 승부수다.
이를 두고 당내에서는 의견이 극명하게 엇갈린다.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홍 대표 사퇴를 만류한 것으로 알려진 이경재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는 만들어봐야 과정이 복잡하고 큰 의미가 없다”면서 “예산안 처리와 함께 한나라당이 바뀌는 쇄신안을 내고 그때 가서 결정하더라도 지금은 할 때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남경필 최고위원은 사퇴 기자회견에서 “당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공감이 가고 이해가 가지만 지금 질서를 유지하는 게 답이 아니다. 지금은 새로운 에너지를 위한 공간을 여는 것이 중요하다”며 비판적 입장을 밝혔다.
친박계 관계자도 “선출직 최고위원 3명이 사퇴한 상태에서 자리를 유지하겠다면 어떤 명분을 내세우건 간에 홍 대표가 내년 총선 공천을 위한 사리사욕에 집착할 것이라는 인상을 줄 수 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예정된 한나라당 의총에서는 홍준표 체제의 유지를 놓고 소속 의원들간 격론이 예상된다.
특히 그동안 홍대표 체제에 힘을 실어줬던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상황 변화를 이유로 ‘박근혜 조기등판론’에 힘을 실으면서 홍 대표 사퇴거부를 비판할 경우에는 상황이 급변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