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이 주축인 시민통합당 간 당대당 합당을 위한 통합 협상이 7일 큰 틀에서 가닥을 잡아가는 양상이다.
그러나 민주당 내에서 핵심쟁점인 지도부 선출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고 있어 내부의 불협화음 조율이 막판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민주당과 시민과통합당은 경선룰에 대한 입장차를 상당 부분 좁힌 상태다.
선거인단의 경우 시민통합당 쪽에서 대의원 비율을 3분의 1인 33.3%까지 높이는 것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은 `대의원 20%, 당원ㆍ시민 80%`를 다수안으로 마련했지만 시민통합당이 대의원 비중을 좀더 높이는 절충안을 제시한 것이다.
또 민주당이 당비를 납부하는 당원 12만명에 대해 선거인단 신청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선거인단에 포함시켜달라는 요구도 시민통합당이 수용했다.
그러나 시민통합당은 선거인단 신청시 약식이나마 당원 가입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이른바 `임시당원제`의 경우 국민경선 취지에 반한다고 극력 반대했고 민주당도 도입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통합협상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경선룰을 마련해 시민통합당에 전달할 예정이다.
시민통합당은 민주당이 마련한 안에 대해 부족하나마 수용할 수 있다는 기류가 강하다.
시민통합당은 민주당과 경선룰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다면 이날 오후 예정한 창당대회를 미루고 통합수임기구도 구성할 수 없다고 배수진을 쳤다.
시민통합당 관계자는 "경선룰에 대한 진전이 이뤄졌다"며 "민주당이 통합협상위원회 회의를 통해 제시할 안을 본 뒤 창당대회 진행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이 어렵사리 절충점을 찾고 있지만 민주당내 반발이 여전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 등은 당 지도부가 충분한 소통을 거치지 않은 채 밀실협상을 통해 일방적인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민주당과 비민주당 세력이 법상 당헌상 지속력있는 합의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새 정당 설립이 중단돼야 한다"고 `선(先) 당내합의 도출`을 촉구했다.
이런 상황에서 11일로 예정된 민주당의 전당대회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지 우려가 적지 않다.
자칫하면 의결정족수를 채우지 못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가 하면, 반대파들이 실력행사에 나서면 전대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통합 결의를 위한 표결을 진행하면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는 걱정도 나온다.
정장선 사무총장은 "전대 전까지 최대한 합의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막판까지 노력한다면 전대가 원만하게 개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