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과 허리에 통증과 저림 증상을 유발하는 디스크 환자가 최근 5년간 2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디스크 관련 건강보험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환자 수(진료인원)가 2009년 224만명에서 2013년 271만명으로 5년간 47만명(20.8%) 증가했다고 밝혔다. 총 진료비는 2009년 5967억여원에서 2013년 7737억여원으로 5년간 1770억여원(29.7%)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 6.7%이다. 이 기간 남성 대비 여성 환자 수 비율은 2009년 1.44명에서 2013년 1.36명으로 남성 환자 수가 다소 증가했다. 연령별 환자 수비율은 2013년 기준으로 50대가 26.2%로 가장 높았다. 이어 40대 19.2%, 60대 18.3% 순으로 조사됐다. 성별 환자 수는 30대까지는 남성이 많았으나 40대부터 여성이 더 많았다. 30대 이하는 무리한 운동이 주된 발병 원인이었고, 40대 이상은 노화 현상에 따른 척추 퇴행성 변화로 디스크가 발생했다. 디스크는 목 디스크 `경추간판 장애`와 허리 디스크 `기타 추간판 장애`로 나뉜다. 최근 5년간 목 디스크가 29.7%, 허리 디스크는 18.4% 증가했다. 목 디스크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1년 12.2%로 가장 높았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보급이 영향을 미쳤고 이동 중 휴대폰 사용은 목에 무리를 준다. 척추뼈마디 사이에서 쿠션같이 완충작용을 해주는 디스크 조직 추 간판이 잘못된 자세나 무리한 운동으로 인해 밖으로 밀려나오는 것이 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김동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문심사위원은 "최선의 디스크 예방법은 목과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는 것이다"며 "바른 자세로 생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