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이 정국 정상화를 위해 여야 대표간 회담을 제안했지만 세월호특별법 협상 과정에서 넘어야 할 산이 한두 개가 아니어서 여전히 전망이 밝지 않아 보인다.
문 위원장은 28일 세월호 문제를 이달 안에 매듭짓고 10월 1일부터는 정국을 정상화해야 한다며 여야 대표 회담을 긴급 제안했다.
문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세월호 사고의 가장 큰 피해자이자 희생자인 유족들이 (세월호특별법 제정) 해결을 위해 전향적으로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당과 청와대가 세월호 참사 및 특별법 제정 책임을 유족과 야당에게 떠넘기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적반하장도 유분수다. 본말이 전도됐다. 가장 큰 책임은 누가 뭐래도 정부와 여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문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그것이야말로 적반하장”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 측은 문 위원장의 기자회견 후 “김무성 대표가 굉장히 신중한 태도이고 당장은 정의화 국회의장께서 30일 국회 본회의 소집을 일단 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금으로서는 새정치연합이 30일 본회의 참여하는 것이 가장 먼저”라고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다만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앞으로 기류 변화가 있을지 모르지만 (회동 제안에 대해) 오늘은 거절도 수용도 아닌 것으로 안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이 두번이나 세월호특별법 합의안을 파기하는 등 지금까지 세월호 협상 창구였던 박영선 원내대표를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이 우선 당론부터 정리해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러면서 30일 본회의에서 계류 중인 90개 법안을 처리하기 전에는 새정치연합과의 어떤 협상도 없다며 야당과의 대화 창구를 모두 끊고 압박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또 정의화 국회의장이 26일 본회의에서 법안을 한 건도 처리하지 않고 9분여 만에 산회하면서 정 의장과 야당을 비판하는 당내 목소리도 커지고 있어 여야 간 세월호특별법 2차 합의안에서 더 양보한 안을 선뜻 내놓기도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새누리당에서 지금까지 세월호특별법 협상을 해온 이완구 원내대표는 정 의장의 이 같은 결정에 반발해 사의를 표명하기도 했다.
앞서 세월호 가족대책위 신임 집행부는 문 위원장과 박 원내대표와 두 차례 면담한 끝에 기존 세월호 유가족들의 요구였던 ‘진상조사위 수사ㆍ기소권 부여’에서 ‘이에 준하는 안’으로 다소 물러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세월호특별법 처리를 위해 새누리당의 전향적인 자세 변화를 촉구하며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진상조사위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할 수 없다는 것은 야당과의 협상에서 이미 정리됐기 때문에 유가족이 양보를 한 것이 아니고 이전과 상황 변화가 없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은 우선 29일로 예정된 새정치연합의 의원총회 결과를 본 뒤 ‘올스톱’된 여야 원내대표와 수석부대표간 세월호특별법 협상 채널 가동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