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은 31일 서해 NLL(북방한계선)에서 사격훈련을 예고한 뒤 500여발의 사격을 했고, 이 가운데 100여발이 우리 영해에 낙하했다. 이에 우리 군은 300여발의 대응사격을 실시했다.
이번 북한이 해상사격훈련에서 우리 측 영해에 포탄을 낙하시킨 것에 대해 국방부는 의도적인 도발로 판단하고 경계태세를 강화한 상태다.
이날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의 해상사격훈련은 낮 12시 15분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7개 지역에서 8차례에 걸쳐 실시됐고, 북한은 모두 500여발의 사격을 실시했다.
이 가운데 100여발이 우리 측 해상인 NLL 이남인 백령도 북동쪽에 낙하했다. 북측 포탄은 NLL 남측 최대 3.6㎞ 지점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K-9 자주포로 300여발의 대응사격을 실시했고, F-15K를 출격시켜 초계비행을 했다. 우리 군이 대응사격한 300여발의 K-9 포탄은 모두 북측 영해인 NLL 이북지역으로 넘어갔다.
북한 서남전선사령부는 이날 오전 8시 우리 측 해군2함대사령부에 전통문을 보내 NLL 인근 사격훈련 계획을 알려왔다. 북한은 전통문에서 이 지역에 우리 측 선박이나 함정이 들어가지 않도록 알렸다. 북한이 통보한 사격훈련 지역은 황해도 장산곶에서 대수압도 전방에 이르는 등 NLL 이북 7개 구역이다.
우리 군은 북한의 전통문을 받은 즉시 백령도와 연평도 주민의 안전을 위해 북한이 통보한 지점을 접근 통제구역으로 설정하는 등 안전조치를 취했다. 이와 함께 북한 측에 NLL 이남으로 사격할 경우 강력히 대응할 것임을 통보했다.
북한은 이날 사격훈련에서 100mm 해안포와 함정인 화력지원정의 122mm 방사포, 사단·군단이 운용하는 122mm·240mm 방사포 등을 동원했다.
북한군의 포탄이 한국 영해로 낙하하자 유엔사군사정전위원회(유엔사군정위)가 북한에 사격 중지를 촉구하는 한편 북측에 장성급 회담을 제안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유엔사군정위는 이날 오후 3시께 북측에 통지문을 보내 "북한은 서해에서 사격을 즉각 중단하고, 대한민국에 대한 호전적 행위를 종료하기를 촉구한다"며 "북한의 행위는 역효과를 초래하고 긴장을 고조시킬 뿐이다"고 경고했다.
유엔사군정위는 또 북한이 통지문 수령 후 2시간 이내에 판문점에서 장성급 회담을 열 수 있다는 내용도 통지문에 포함시켰다.
김민석 대변인은 "북한의 포탄이 떨어진 백령도 북동쪽은 얼마 전 북한어선이 우리 해군에 나포되기도 한 민감한 지역이다"면서 "북한은 해상사격훈련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도발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통상적으로 해상사격 훈련시 남쪽이나 서쪽을 향해 발사하는 데 북한은 남쪽으로 포탄을 발사했다"면서 "북한이 우리의 대응사격을 빌미로 우리 도서와 해역에 도발한다면 단호히 응징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현재 우리 군은 한미 공조하에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 하고 있으며, 모든 지역에서 경계 및 감시태세를 강화하고 무기태세를 증강시켰다.
뉴스1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