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비율이 공개됐다.
미래창조과학부가 24일 발표한 `2013 인터넷중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만 10~1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25.5%로 전년(11.4%)보다 7.1%포인트 증가했다.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를 뜻한다.
만 10~54세 스마트폰 이용자 1만5564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 성인(만 20~54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8.9%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9.1%)보다 0.2% 감소한 것으로 청소년과 성인을 합한 전체 중독률은 11.8%로 전년(11.1%) 대비 0.7%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대별로 나눠보면 10대(25.5%), 20대(15.0%), 30대(8.2%), 40, 50대(5.0%) 순으로 10대의 중독률이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 이용자들은 하루 평균 4.1시간씩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중독위험군 사용시간이 5.4시간에 달했다. 중독 고위험군의 스마트폰 이용 목적은 모바일 메신저(27.2%),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 프로필 기반 서비스(15.5%), 온라인 게임(14.8%), 뉴스검색(9.8%) 순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비율을 접한 누리꾼들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비율, 설마 나도?",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비율, 정말 심각하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비율, 내 자식도 위험할 듯",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비율, 문제가 많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비율, 하루 빨리 해결책이 필요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