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정부 3.0 취지에 맞춰 물가관리 홈페이지를 새롭게 단장해 운영한다.
이번 개편은 물가정보의 체계적 DB구축 및 표, 그래프 지원으로 이용자들이 데이터를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기능을 보강하고, 웹접근성 및 웹호환성을 개선 PC와 모바일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홈페이지의 다양한 물가정보를 개인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통해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했으며, 물가관리정보를 RSS로 제공해 홈페이지를 방문하지 않고도 최신 물가정보를 수집해볼 수 있다.
이용자들은 개편된 홈페이지를 통해 ‘물가지수, 서민물가, 밥상물가, 가격비교, 착한가격업소, 소비자보호센터’등 6개 분야의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물가지수에는 매월 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비자 물가지수 및 생활물가지수 등을 타지역과 비교 공개해 도의 물가 안정화 수준을 파악하기 쉽게 그림과 도표로 나타냈다. ▲서민물가는 상하수도 요금 등 공공요금 7종, 농축산물 가격 10종, 외식비와 이,미용료 등 개인서비스 요금 13종 총 30종의 정보를 공개했다. ▲밥상물가에는 서민들이 쉽게 접하는 밥상차림 주요품목 20종의 가격을 중점 관리하고 있다. ▲가격비교에는 시군의 주부들로 구성된 경북도 물가수호대 142명이 월3회(5일, 15일, 25일) 조사한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농축수산물과 개인서비스 품목 등 124종의 가격을 공개하고 있다. ▲착한가격업소에는 안전행정부와 경북도, 시군이 지정하는 물가안정 모범업소인 착한가격업소 483개소를 소개하고 있다.
송경창 경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은 “정부 3.0 정책 취지에 맞도록 물가관리 홈페이지를 개편해 공공기관에서 관리하는 유익한 물가정보를 모든 도민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맞춤형 물가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해 소비자의 합리적 구매선택 지원과 생산자간 자율경쟁 유도로 지방물가 안정화를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