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6·4 지방선거부터 적용키로 한 `상향식 공천` 제도를 두고 일선 현장에서 우려 섞인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기초공천 폐지 공약 철회 논란을 수습하기 위해 상향식 공천을 대안으로 내놓았지만, 제도를 적용하는 일선 현장에선 과도한 비용과 공정성 시비 등을 이유로 회의적인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이번에 개정된 당헌·당규에 따라 새누리당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광역의원 경선을 `일반당원 50% + 국민선거인단 50%`를 각각 반영해 실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6·4 지방선거에서 실시되는 기초단체장(229개), 기초의원(지역구 2519개), 광역의원(지역구 663개) 선거구 등 3000곳이 넘는 곳에서 당내 경선을 다음달 25일까지 끝낸다는 계획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16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경선을 실시해야 하는 것은 처음이라 중앙당 및 각 시도당에 비상이 걸렸다"며 "총선의 경우 지역구 200개 남짓한 곳에서 경선이 실시됐지만, 이번 지방선거는 경선 실시 지역이 10배가 넘는 상황"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경선 지역이 3000곳이 넘으면서 경선에 들어가는 비용 역시 전국적으로 수십억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기초단체장의 경우 해당 선거구 유권자수의 0.5% 또는 1000명 이상(광역·기초 의원은 0.5% 또는 300명이상)을 구성해야 하는 국민선거인단을 꾸리는데도 만만치 않은 비용 발생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최근 기초선거 경선 세부 계획을 짠 서울 양천구의 경우 1200명의 국민선거인단을 여론조사 업체에 위탁해 구성키로 했다.
해당 지역 관계자에 따르면, 여론조사 업체에서는 국민선거인단 샘플 1명당 5만원씩의 비용 발생을 통보해 왔다.
양천구 한 곳에서만 국민선거인단 구성에 6000만원의 비용이 투입되는 것이다. 양천구에서는 1200명의 샘플을 구청장 뿐만 아니라 시·구의원 경선에도 활용할 방침이다.
이처럼 국민선거인단 구성에 들어가는 비용은 당이 아닌 경선 후보자들이 갹출한다. 기초단체장, 광역·기초 의원별로 1인당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씩의 별도 비용이 발생하는 것이다.
경선에 들어가는 비용은 선거 비용 보전 청구도 할 수 없어 돌려받을 길도 없다.
공천 접수 때 후보자에게 경선 비용(기초단체장 100만원·광역의원 80만원·기초의원 50만원)을 받지만, 국민선거인단 경선을 실시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다는 게 당 관계자의 설명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