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정부의 원격의료 도입 및 의료영리화 정책 반대, 건강보험제도 및 의료제도 정상화 등을 주장하며 10일 집단휴진을 실시했지만, 대구ㆍ경북지역은 의원들의 참여율이 낮아 큰 불편을 겪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지역 동네의원은 10곳 중 3곳, 경북 2곳 가량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상당수 전공의들이 휴진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포항지역은 전체의원 239곳 중 20여 곳만 참여했다.
이날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의사들이 휴진에 불참해 의료공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의료계가 11~23일 준법 진료ㆍ근무에 이어 오는 24~29일 2차 전면 휴진을 예고한 상황이어서 시민들의 큰 불편과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10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지역 동네의원 1578곳 중 35%인 550곳이 이날 하룻동안 문을 닫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 종합병원 11곳에서 근무하는 인턴과 레지던트 1,018명 중 응급실, 중환자실 등 필수인력을 제외한 상당수가 휴진에 동참했다. 경북지역에서는 의원 1,166곳 중 23%인 278곳이 이날 하룻동안 문을 닫았다.
대한의사협회 집단 휴진 사태에 앞서 대구시와 경북도는 각급 의료기관에 업무개시명령서를 발급했으며, 10일 현장채증팀을 가동, 불법 휴진에 대한 채증 작업을 실시했다.
의료기관이 진료명령을 거부하고 불법 휴진하면 의료법(제59조)에 따라 업무정지 15일 처분을 받게 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 당직의료기관에 24시간 응급실 운영을 강화하도록 요청하고 일선 시ㆍ군ㆍ구와 보건소에 비상진료대책 상황실을 설치, 가동 중이다.
이율동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