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는 지난해 7월 이후 경북지역 강수량이 598.9mm로 평년대비 75%에 그쳐 봄철 가뭄으로 인한 농업용수 확보 가뭄 극복대책에 들어갔다.
현재 경북지역 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 663곳의 평균 저수율이 72.9%로 평년 81.8%보다 약 9% 로 낮다.
저수율 50% 미만인 저수지가 현재 72곳(주수원 26곳, 보조수원 46곳)으로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최근 제기되고 있었다.
이에 농어촌공사 경북본부는 “저수율 50% 미만 저수지 수혜 구역에서 모내기까지 필요한 수량 확보를 위해 평년 대비 강우량 70%, 50%, 무강우시 등 각각의 경우에 대해 필요 수량을 각각 계산해 강우량 변화에 따른 물수지 분석을 통해 매주 필요수량을 점검ㆍ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어촌공사는 “각 지역별 상황에 맞게 하천 굴착, 양수저류, 간이양수장 및 관정 설치 등 용수대책 마련에도 착수했다”며 “현재 경주 내태지에 대해서는 양수장을 가동해 하루 5천톤의 인근 하천수를 저류함으로서 저수율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포항 강사지에 대해서도 기설관정을 통해 저수지 저류를 실시하는 등 봄 가뭄대비 농업용수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대책과 관련해 예병훈 한국농어촌공사 경북본부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발생에도 안심하고 영농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등 일선 현장에서 용수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용수로 준설 및 수초제거 등 작업을 병행해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