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혼율이 2000년대들어 1950년대 대비 13.6배 증가하는 등 큰 폭으로 늘어 아시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조사·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소장 곽배희)가 6일 배포한 `한국의 이혼율 연구 Ⅳ(2000~2010)`에 따르면 2000~2010년 한국의 평균 조이혼율(전국 인구 1000명당 이혼건수)은 2.72로 1951~1959년 0.20에 비해 무려 13.6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조이혼율은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해 1990년 2.08, 2002년 3.12 등을 넘어 2003년에는 최고치인 3.54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조이혼율이 가장 낮았던 1951년 0.08에 비하면 무려 44.3배나 증가한 수치다.
이혼건수는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직후인 2000년대 초반부터 증가했지만 부동산 경기가 잠시 회복되던 2000년대 중반에는 감소했고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되자 다시 증가했다.
아시아 각국과 비교해 볼 때도 한국의 조이혼율은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엔 인구통계연감에 따르면 한국의 조이혼율은 1987년에 일본보다 1.4배 낮았지만 1996년부터 일본보다 높아져 현재 아시아에서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협의이혼은 지난 2003년 이후로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또 2000~2006년까지 재판상 이혼청구는 여성(61.8%)이 남성(38.2%)보다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