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와 비교 평가한 외신 보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청와대가 6일 배포한 `최근 대통령 및 주요 정책 관련 외신 보도 등` 자료에 따르면, 미국 경제전문 통신사 블룸버그의 칼럼니스트 윌리엄 페섹은 `매우 타당한 한국의 성장계획(South Korea’s Wildly Plausible Growth Plan)`이란 제목의 지난 4일자 칼럼에서 "박 대통령이 제안한 `474비전`(2017년까지 잠재 경제성장률 4%대·고용률 70% 달성 및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 기반 마련)은 다수 전문가나 재계 인사, 심지어 박근혜정부 당국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타당하다"며 "이는 대단히 원대한 비전"이라고 평가했다.
페섹은 특히 "박 대통령은 남은 임기 동안 이 계획 완수를 위한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이나, 그의 원대한 의욕은 아시아에서 개혁이 죽지 않았다는, 환영할 만한 징후"라며 "박 대통령의 계획은 대규모 통화부양책에 앞서 구조개혁을 우선하는 `반(反)아베노믹스`적인 책략으로 간주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페섹은 "한국인들이 논의해야 할 사안은 박 대통령의 성공 가능성 여부가 아니다. 한국인들은 박 대통령이 실패할 경우 한국에 닥칠 일이 뭔지 논의해야 한다"며 "박 대통령의 경제혁신 계획은 신속하게 현명하게 이행될 경우에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지난달 28일자 `한국의 성장모델(South Korea`s growth model)` 제하 사설에서 "생산성 제고에 초점을 둔 박 대통령의 경제혁신 계획은 획기적"이라며 "아시아는 물론, 다른 지역에서도 성장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WSJ는 또 "`미래 성장을 위해 국민은 더 열심히 일해야 하고, 정부는 거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건 어떤 경제에서든 정확한 해법이지만, 한국경제의 현 발전단계에선 특히 올바른 해법"이라면서 "이는 아베 총리의 아베노믹스가 구체적 개혁을 보여주지 못한 채 시들해지고 있는 일본과 현저하게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WSJ는 "만약 한국인들이 박 대통령의 경제혁신과 같은 개혁구상을 적극 수용한다면 일본이 겪은 침체는 피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