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정부가 오는 12일로 제의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등 이산가족 관련 근본 문제 해결을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6일 거부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측이 이날 오전 판문점 적십자 연락관을 통해 전달한 조선적십자 중앙위원회 위원장 명의의 통지문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말했다.
북측은 통지문에서 "지금은 이산가족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가질 환경과 분위기가 조성돼 있지 못하다"며 "현 남북관계로 보아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같은 중대한 인도적 문제들은 남북 적십자간 협의로 해결될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고 언급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북측은 이날 통지문에서 고위급 접촉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는 않았으나 이같은 언급을 봤을때 사실상 고위급 접촉에 재개의 속내를 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이에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등 근본적 해결방안을 협의하자는 우리측 제의에 호응하지 않은 것에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 당국자는 "이산가족 문제는 그 어떠한 사안과 연계됨이 없이 남북간에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남북관계 발전의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북측이 우리측 제의에 호응해오기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산가족 문제의 협의 자체를 거부한 것은 아니고 협의의 틀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며 "통지문의 어조가 우리를 비난하거나 불만을 말하는 내용은 아니었고 지난 1월 16일 `중대 제안`에서의 톤을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통일부를 중심으로 북측의 통지문에 대한 대응 방향을 유관부처 간 협의를 통해 결정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달 12일과 14일 진행했던 고위급 접촉의 재개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북한은 전날인 5일 오후 서해 군 통신선을 통해 우리측 민간단체의 전단(삐라)살포를 문제삼는 내용의 국방위원회 명의 통지문을 청와대 국가안보실 앞으로 보내왔다고 정부는 밝혔다.
우리측 일부 대북 민간단체들은 지난 3일과 4일 휴전선 인근 지역에서 대북 전단을 살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당국자는 "민간단체의 전단 살포는 자율적인 것으로 정부가 관여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지난 고위급 접촉에서 양측이 당국간 상호 비방중상 중단에 합의할때도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북측에 설명한 바 있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