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대통령 취임 1주년에 맞춰 새정부 국정시책의 지역성과를 평가하면서 대통령 공약사업 추진, 창조경제 구현, 지역 역점사업 추진 등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대통령 지역 공약사업은 새정부 초기에 국책사업으로 선정돼 지역발전을 선도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 대체로 무난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속사업인 로봇산업과 SW 융합산업 클러스터 구축은 사업추진에 필요한 국비를 확보(2014년 로봇산업 216억 원, SW산업 174억 원)하는 등 계획대로 추진 중이다.
아울러 남부권 신공항 건설은 국토교통부에서 작년 항공수요조사에 이어 올해 입지타당성 조사를 추진할 예정이며, 대구시는 입지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에 철저히 대비해서 신공항이 반드시 밀양에 유치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K-2 군 공항 이전은 작년에 특별법이 제정되어 이전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시민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시 의회 의견 청취(3월)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하여 국방부에 3월에 이전건의서를 제출하는 등 본격적인 이전을 위한 첫발을 내 디딜 예정이다.
이어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작년에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되어 사업 추진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통과될 수 있도록 환경부과 합동대응반을 운영하고, 2015년 세계물포럼(2015.4. 12 ~4. 17) 성공개최 준비와 세계물포럼 지원시설(EXCO) 보강비 2014년국비 35억 원 확보로 물산업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국가첨단의료허브 구축사업은 국가분자이미징센터 설립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으며, 의료제품 인허가 기능 보강을 위해 식약처와 협의해 금년 중 대구식약청 이전계획을 수립하고, 국가심장센터 건립을 위한 설립타당성 연구용역비(2014 국비 7억 원)를 확보하는 등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구미~대구~경산을 연결하는 대구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도 작년에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한편 대구시는 중앙부처와 협력해 섬유ㆍ자동차부품ㆍ기계금속 분야에 IT를 접목하여 구조를 고도화 하고, SWㆍ로봇ㆍ그린에너지ㆍ첨단의료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미래성장 동력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또한 창조경제를 통한 역동적인 혁신경제를 위해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최초 유치해 3월에 개소하고, ICT융합 콘텐츠ㆍ웰니스 휴먼케어 플랫폼ㆍ자동차부품ㆍ3D 프린팅 등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조영준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