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소비생활센터는 지난해 `초 중학생 소비의식 및 소비실태를 파악하고자 소비자단체로부터 초등학생 4~6학년 2,033명과 중학생 2,0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초등학생 4~6학년과 중학생 대상 소비의식 및 소비실태 설문조사 결과, 초등학생 4~6학년의 경우 ‘품질’ 36.5%, ‘가격’ 34.8%, ‘디자인&색상’ 19.7% 등의 순으로 중점을 뒀고, 중학생은 ‘가격’ 33.4%, ‘디자인&색상’ 31.0%, ‘품질’ 27.2% 등의 순으로 중점을 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품 소비과정의 불만사항도 초등학생 4~6학년의 경우 ‘기능과 성능 등의 품질 불만’이 37.4%로 가장 높은 반면, 중학생은 ‘가격불만’이 42.9%로 가장 높았다.
이에 따라 사교육의 종류(복수응답)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 4~6학년의 경우 응답자의 78.3%가 ‘학원’을 다니고 있었고, ‘방과 후 수업’ 48.6%, ‘학습지’는 35.6%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교육을 하지 않는 경우는 1.3%에 불과했으며, 중학생의 경우 응답자의 64.4%가 ‘학원’을 다니고 있었고, ‘과외&개인교습’ 18.0%, ‘학습지’ 14.0%, 사교육을 하지 않는 경우도 9.1%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현재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초등학생 4~6학년 응답자의 83.2%(1,692명), 중학생 응답자의 93.5%(1,911명)로 초등학생 4~6학년과 중학생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각각 10.3%, 5.7% 더 많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했다.
대구시 안국중 경제통상국장은 “초, 중학생 소비의식 및 소비실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 대상 소비자교육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조사결과가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관내 학교 및 유관기관, 단체에 배포해 민,관 파트너십 증대를 도모하고 현장체험 등 재밌고 다채로운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영준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