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이석증 진료인원이 급증하고 있어 사회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석증은 칼슘대사 이상 및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여성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고, 50대부터 환자가 집중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석증은 몸의 운동감각이나 신체의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말하며, 양성 발작성 현기증(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이라고 불린다. 귓속 반고리관 내부에는 이석(돌가루)이 쌓인 층이 있는데, 이석이 떨어져 귀속을 돌아다니면서 평형기능의 장애를 일으켜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동안(2008~2012년) ‘이석증(H81.1)’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8년 19만 8,000명에서 2012년 28만 2,000명으로 1.43배 증가하였고,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08년 411명에서 2012년 569명으로 1.38배 늘었다.
성별로는 2012년 기준 여성(20만 명)이 남성(8만 3천명)에 비해 2.41배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도 여성(809명)이 남성(331명)에 비해 2.28배 많았다.
이와 관련 이비인후과 전문의에 따르면 “이석증이 여성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칼슘대사와 관련이 깊다는 보고가 있다. 이런 칼슘대사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취약한 만큼 여성에게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여성에게서 이석증이 많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율동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