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좀 어리게 입었어요. 이 친구들보다 나이 들어 보일까 봐….”(김재중)
JYJ의 김재중(28)이 사진 촬영에 나서며 너스레를 떨었다. 후배인 비스트의 용준형(25)과 블락비의 지코(22)는 “저희도 어려보이는 얼굴은 아닌데…”라며 머쓱한 표정으로 웃었다.
셋이 나란히 선 모습은 영락없이 한 팀처럼 보였다.
“보컬 하나에 래퍼 둘이니 팀을 해도 되겠어요. 재중, 용준형, 지호(지코의 본명)의 이니셜을 합하니 JYJ네요. 하하하.”
이들의 공통점은 ‘작곡하는 아이돌 가수’란 점. 그냥 멜로디만 흥얼거려 앨범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는 수준이 아니라 작사ㆍ작곡ㆍ편곡이 가능해 자신의 앨범을 손수 프로듀싱하고 다른 가수에게도 곡을 주는, 가요계에서 인정받는 ‘저작권 돌’이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따르면 김재중은 37곡, 용준형은 60곡, 지코는 46곡을 작사ㆍ작곡했다.
최근 삼성동의 한 녹음실에서 합동 인터뷰를 한 이들은 친분이 꽤 두터웠다. 용준형은 지난해 김재중의 노래 ‘돈트 워크 어웨이’에 랩 피처링한 적이 있고 지코는 블락비 활동 전 용준형과 음원을 함께 작업한 인연이 있다. 음악을 만든다는 공통분모 덕인지 “함께 자리한 게 재미있다”며 즐거워했다.
지코는 “지금 여기 있는 게 신기하다”며 “초등학교 6학년 때 동방신기의 ‘더 웨이 유 아’, 중2 때 ‘라이징 선’을 부르며 장기자랑을 한 기억이 있다. 중국 유학 시절 슈퍼 메가 히트곡을 낸 동방신기란 그룹이 엄청 대단했다”고 말했다.
“최근 기분이 우울해 새벽 3~4시쯤 한 음식점에서 혼자 술을 먹는데 재중이 형에게 전화가 걸려왔어요. 형이 ‘나도 혼자 술 먹던 중’이라며 달려와 줬죠. 형은 제가 얘길 안 해도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인데 저와 감정선이 비슷한 것 같아요.”(용준형)
김재중이 “준형이는 슬퍼 보일 때가 많다. 그래서 만났을 때 준형이가 웃는 게 보기 좋다”고 말하자 지코는 “형들은 슬픈 감정을 즐기는 사람들인 것 같다”고 맞장구를 쳤다.
국내에서 아이돌은 주류이며 선망받는 동시에 비난의 대상이 되곤 한다. 특히 아이돌 칭호를 얻는 순간 음악적인 측면이 평가절하되는 경향이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