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상태의 중증 환자가 응급의료기관을 찾아도 수술장이나 중환자실로 옮겨져 본격 수술ㆍ처치 등을 받기까지 보통 6시간 이나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서울대ㆍ서울아산ㆍ삼성서울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의 응급실은 거의 항상 병상 수보다 응급환자가 더 많은 ‘포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13일 공개한 ‘2013년도 전국 430개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에 따르면, 사망률이 95%를 넘는 질환으로 이들 병원의 응급실을 찾은 중증 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은 평균 5.9시간으로 집계됐다. 2012년의 6.3시간보다는 짧아졌지만, 여전히 환자들이 빨리 수술장ㆍ중환자실ㆍ병실 등으로 옮겨져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6시간 가까이 응급실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이다. 응급실 재실 시간이 가장 긴 병원은 서울보훈병원(31.1시간)이었고, 인제대 부산백병원(20.5시간)ㆍ조선대병원(19.1시간)·화순전남대병원(16.7시간)ㆍ양산부산대학교병원(16.2시간) 등이 뒤를 이었다. 전북대병원(16.0시간)ㆍ원광대부속병원(15.3시간)ㆍ대구파티마병원(14.8시간)ㆍ서울대병원(14.4시간)·분당서울대병원(14.3시간) 등도 환자가 응급실에 머무는 시간 ‘상위 10위’에 포함됐다. 중증 뿐 아니라 일반 응급 환자까지 포함해 응급실 병상 수에 비해 응급환자가 어느 정도 많은지, 대기 시간이 얼마나 긴지를 나타내는 응급의료기관 과밀화 지수(포화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서울대병원(177.1%)이었다. 과밀화 지수가 100%를 넘는다는 것은 응급 병상 수에 비해 환자 수가 많아 항상 `대기`가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경북대(140.3%)ㆍ서울보훈(133.5%)ㆍ전북대(132.0%)ㆍ경상대(125.7%)ㆍ분당서울대(125.2%)ㆍ전남대(122.1%)ㆍ서울아산(115.8%)ㆍ삼성서울(110.9%)ㆍ양산부산대(108.4%) 병원 등의 과밀화 지수도 100%를 웃돌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보통 이 지수가 100%를 넘는 응급실의 경우 응급병상이 항상 부족하기 때문에 급한대로 의자나 임시 침상 등을 놓고 응급 환자를 보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군 지역의 이른바 `취약지` 응급의료기관 84개의 경우 지역 응급의료기관으로서의 법정 기준(응급 전담의사 1~2명, 전담 간호사 5명 등)을 충족한 비율이 63.1%에 불과했다. 2012년의 32.5%에 비해 약 두 배 정도로 높아졌지만, 아직도 10개 가운데 4개는 기준 미달 상태라는 얘기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평가 결과에 따라 지원금을 차등 지급할 것”이라며 “취약지역 응급실의 경우 인근 거점 대형병원에서 인력을 파견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