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령자 등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수준 평가에서 경기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경북이 꼴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국토교통부의 ‘2013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 10개 시도의 교통복지 수준을 종합 평가한 결과 경기도는 접근로 보행환경, 보행자 사고율, 교통수단 기준적합 설치율, 교통복지행정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1위로 평가됐다. 반면 경북은 저상버스 보급률과 교통복지행정이 최하위와 함께 그 외 지표도 대부분 중하위권에 머물러 교통복지 수준이 2011년에 이어 꼴찌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2012년말 현재 교통약자는 인구의 24.8%인 1천263만명으로 전년보다 22만명 늘었으며 교통약자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가 598만명(47.3%)으로 가장 많았고 어린이와 장애인은 각각 235만명(18.6%)과 150만명(11.9%)으로 집계됐다.
또 이동편의시설이 법적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된 비율은 64.8%로 1년 전보다 2.0% 포인트 증가했다.
그리고 기준적합 설치율은 교통수단별로 항공기(98.1%)가 가장 높고 철도(93.2%), 버스(81.5%)순으로 나타나며. 노후 선박이 많은 여객선은 16.7%로 매우 낮으며 전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객시설별로는 공항(74.9%)과 철도역사(74.0%)가 높았으며 여객선터미널(63.3%), 버스터미널(51.4%), 버스정류장(32.7%)순으로 나타났고 교통수단별로는 항공기의 만족도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철도는 62점이었다. 버스와 여객선은 각각 56점과 58점으로 각각 나타난 가운데 경북도가 장애인, 고령자 등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수준 평가에서 경북이 꼴찌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중기 민주당 경북도당 위원장은 “경북도의 복지정책이 지난 무상급식에서도 전국에서 가장 낮은 하위 수준 이였는데 이번 각 종 복지수준 평가에서 역시 전국 꼴찌로 복지정책의 재검토와 발상의 일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