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2일 7년 만에 열린 남북 고위급 접촉을 긴장감 속에 주시했다. 청와대는 이날 외교안보분야 사령탑인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주재 하에 안보실을 중심으로 오전부터 남북 고위급 접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긴박한 모습을 보였다. 공식 일정이 없는 박근혜 대통령도 청와대 집무실에서 김 안보실장으로부터 고위급 접촉과 관련한 주요 사항을 수시로 보고받고 적절한 대처를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고위급 접촉은 박 대통령이 새정부 출범과 함께 표방해 온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전개를 본격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와대가 비상한 관심을 쏟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제3차 북한 핵실험과 개성공단 일방 폐쇄 등의 악재를 겪은 끝에 올초 이산가족 상봉 요구를 북한이 수용하면서 조성된 남북한 `해빙무드`의 문턱에서 열리는 고위급 접촉인 만큼, 박근혜 정부 남북관계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이 고위급 접촉의 카운터파트로 청와대 인사를 `요구`했고, 이에 청와대도 안보 컨트롤타워인 김 안보실장의 신임을 받는 김규현 국가안보실 1차장을 수석대표로 보내는 `파격`을 택한 것은 그만큼 이번 접촉에 거는 정부의 기대가 크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박근혜 정부는 그동안 남북 관계는 주무부처인 통일부가 맡아 진행한다는 입장을 견지했지만 이번에 김규현 1차장을 수석대표로 발탁함으로써 남북관계의 진전을 기대하고 있음을 숨기지 않았다는 평가다. 아울러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북남 관계개선의 분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한데 이어 박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통일 대박론`을 꺼낸 가운데 열리는 남북 접촉이어서 관계개선의 기대감은 큰 상황이다. 이 때문에 고위급 접촉에서는 이달 20∼25일 금강산에서 열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 문제 외에도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파격적 제안`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벌써 일각에서는 우리 측이 아니더라도 북한이 남북정상회담을 전격 제안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 측이 이산가족 상봉 합의의 원활한 진행과 상봉행사 정례화 등을 주요한 의제로 제기하면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직접 설명하고, 남북관계 진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핵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박 대통령이 제안한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등 정부의 대북정책 구상에 대한 설명도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이 지난 대선 당시 남북 간 교류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서울과 평양에 각각 `교류협력사무소`를 설치하자는 제안을 한 만큼, 이에 대한 제안이 나올지도 주목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