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는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공단도시이다. 세계 일류의 기업이 활동하고 있는 도시이다. 또한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써도 명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물류비 등의 폭등으로써 기업하기 좋은 도시에서 그렇지가 않는 도시로 가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구미상공회의소가 지난해 말 50개 수출업체들을 대상으로 ‘구미 수출기업 물류 현황 및 애로실태 조사’에서 지난해 상반기 대비 물류비 증가 41.4%, 감소 20.7%, 변화 없음 37.9%로 드러났다. 평균 증가폭은 9.8%나 되었다.
폭등원인은 유가상승(35.0%), 부대요금 인상(30.0%), 제품 무게ㆍ부피 변화(15.0%), 인건비 상승(10.0%), 철도운임 상승 및 철도파업(10.0%) 순이었다. 또 수출 관련 요금조정이 필요한 부분은 항공운임(39.4%), 해상운임(27.3%), 검역ㆍ검수 등 통관 관련 비용(12.1%)이었다. 또 수출 업무 수행방법은 포워딩 업체에 의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60.0%로 가장 높았다.
수출 물류 관련 개선 과제는 복잡한 통관 절차 간소화(40.0%), 공차와 화물이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민간의 물류 정보망사업 활성화(23.3%), 화물연대 및 철도파업 방지(23.3%) 순이다.
이에 대해 구미상공회의소는 “구미공단이 공항과 항만으로 접근성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속한 신공항 입지 결정과 철도 수송 확대이다. 철도 운임 상승 억제는 물론 약목에 위치한 철도CY에 열차 운행이 신속히 재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폭등에 대한 대책이 다나왔다. 이제부터 구미시가 최고의 공단도시답게 특단의 대책을 세울 때이다. 특단의 대책 가운데서 구미시가 어쩔 수가 없는 것도 있다고 본다. 그럼에도 구미시와 관계기관이 대책을 세울 것이 없지가 않다. 당장도 문제이나 미래까지를 고려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구미시는 상의 등과 함께 T/F팀을 구성하기 바란다. 구미시의 물류비 폭등은 구미시가 행정력을 발휘하여 특단의 대책을 세울 것을 주문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