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방에서 전국 최초로 ‘비정상의 정상화 추진계획’을 수립ㆍ발표했다.
경북도는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구상에서 국정 운영의 핵심 기조로 밝힌 ‘비정상의 정상화’에 대한 지방적 실천을 선도하고 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고질적인 비정상 관행을 바로잡기 위해 김관용 도지사 주재로 두차례 비정상의 정상화 추진과제 발굴 보고회를 갖고 1차 과제를 선정해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경북도의 비정상의 정상화 추진 방향은 기본적으로 지방, 현장, 민생부터 정상화를 추진하며 주민과 기업 등 현장의 Needs에 맞는 정상화 과제를 선정해 최우선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경북도, 시ㆍ군뿐만 아니라 유관기관 및 단체와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경북도의 정상화 추진계획은 4대 분야, 20대 핵심과제, 80대 세부실천 과제로 4대 분야로는 서민생활 정상화, 공공부문 정상화, 규제ㆍ관행 정상화, 법 질서 정상화로 나눠 추진된다.
80대 세부과제로 공공부문 정상화, 규제ㆍ관행 정상화, 등에 대해 1차적으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서민생활에서 잘못된 관행들을 개선할 계획이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불법 시위문화 근절, 불법 고액과외 근절 등의 과제들은 향후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해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경북도는 이를 추진하기 위해 2월 말까지 도지사를 위원장으로 도 단위 각급 기관단체장을 위원으로 하는 ‘정상화 추진 협의회’를 구성하고 이를 실무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도청 내부에 ‘정상화 추진단’을 구성해 정상화 전담 담당을 신설하고 구체적인 정상화 방안을 실천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과거 잘못된 관행을 개선해 나가는 것은 큰 의미가 있는 일”이라며 “비정상의 정상화를 통해 잘못된 관행 개선을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