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전북 고창에서 처음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서해안을 이어 수도권인 경기도까지 빠르게 확산 조짐이 나타나 축산농가는 물론 국민모두를 불안속에 긴장시키고 있다.
이번에 확인된 고병원성 H5N8형 AI는 국내에서 32개월만에 발생 급속도로 확산되자 당국은 인근지역으로 확산을 최소화시키는 방지 대책으로 충북, 충남지역 일원에 Standstill(일시 이동중지) 명령 발동까지 취하는 등 가금류 이동 금지는 물론 관련된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과 차량도 닭, 오리농장을 드나들 수 없게 하고 있다.
일시 이동중지 명령은 2012년 2월 관련법이 시행된 후 이번 AI발생 확인에 따라 광주, 전남, 전북지역에 이어 두 번째로 내려졌다.
고병원성 AI가 전국을 대상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조짐에 당국은 긴급 처방조치로 이동중지명령을 내리게 되었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AI 의심신고가 접수되는 곳을 기준으로 반경 3Km 이내 42개 농장의 닭, 오리 174만900마리를 살처분 하기로 했다. 지난 26일까지 살처분 된 닭, 오리는 48만8000마리로 집계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지역에 관계없이 AI가 확산되는 가운데 지난 24일 AI의심신고가 된 전남 해남의 씨오리농장과 충북 부여의 종계장에서 검출된 H5N8형 AI 바이러스가 모두 고병원성 인 것으로 확진되었다.
지난 17일 전북 고창에서 첫 신고가 접수된 지 일주일만에 전남 땅끝마을에서 서울주변까지 AI가 오리는 물론 AI에 취약한 닭으로까지 확산 번지게 되자 당국을 더욱 긴장시키고 있다.
AI발생이 처음이 아니기 때문에 이번에는 발생 초기에 정부와 해당 지자체에서 발빠르게 신속한 방역조치로 다소 주춤하는 듯 했지만 예상과는 달리 서해안을 비롯해 확산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대상농가와 당국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특히 폐사율이 높은 닭으로까지 AI가 확산된 것은 피해가 더 커질 것이라는 걱정들이다. 따라서 예방차원으로 닭, 오리의 살처분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따르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AI의 확산과 예방대책으로 해당 닭, 오리를 살처분 하지만 해당농가 농민들의 가슴은 아프다. 말 못하는 동물의 생목숨을 그대로 끊는 살처분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의 고통 또한 클 것이다.
AI가 2~3년마다 주기적으로 찾아 올 때마다 닭, 오리의 대량 살처분 대책이 대책일뿐이라는 답답한 지적이지만 당면한 과제로서는 AI확산과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은 살처분 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 등 해당농가가 총력적인 대응으로 대처하고 있지만 우선적인 예방방법은 소독과 통제뿐이다. AI발생의 원인이 철새라고 하지만 AI의 확산은 결국 접촉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그래도 AI의 농장 유입을 차단 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확산 예방은 정부와 지자체가 AI의 예찰과 방역활동에 지속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이유기도 하다.
AI가 해를 거듭할수록 연중행사처럼 발생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밝혀지고 있는 AI의 원인을 철새로 보고 있으나 확정적인 단계는 아직 아니라 정밀 역학조사를 기다려 봐야한다. 그렇더라도 철새도래지의 철새 대책 강화는 불가피하다.
닭, 오리 사육을 전업으로 하는 축산농가의 방역활동은 기본이다. 사람과 차량 출입통제로 차단막을 엄중히 설치하는 것이 급선무적인 예방 조치다.
시행착오적인 전례를 보더라도 감염농가를 드나들던 차량이 전염 매개체가 되고 방역진들이 전염속도를 높이는 사례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방역진들도 방역활동을 신중히 해야한다.
민족의 명절인 설이 낀 이번주는 대규모 귀성객과 차량이동이 절정을 이루게 되며 방역에 어려움이 따르게 될 것이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전염과정이 철새와 가금류 뿐만 아니라 사람에 의해서도 전파된다.
AI방역에 의한 예방활동을 해당지역과 우려지역에만 전념 하는 것도 좋지만 전국을 대상으로 한 전면적인 방역활동으로 총력적인 예찰 예방활동이 필요하다.
최근에 발생하고 있는 이상기온 현상의 기후변화에 따른 바이러스의 변종 돌연변이로 진화 방역에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정부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AI에 대한 장단기 방지 대책을 마련 예찰예방활동에 총력체제로 대처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수한 본사 전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