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가 최근 확산되고 있는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을 위해 전국 64개 저수지 및 담수호에 대한 예찰활동에 돌입한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농어촌공사는 이에 따라 저수량 500만톤 이상인 저수지 56개소와 주요 철새도래지 담수호 8개소에 대해 출입을 제한하고, 탐조초소를 설치해 철새의 이동 동향, 철새 폐사체 발견 여부 등 조사에 나섰다.
이번 전국 예찰활동은 AI균이 21일 가량의 잠복기가 있는 만큼 최초 철새 폐사체가 발견된 전북 고창 동림저수지 외에 다른 저수지에서도 감염된 철새가 옮겨갔을 우려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나온것이다.
지난 17일 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인 전북 고창 동림저수지에서 AI감염 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창오리떼 100여 마리가 폐사된 채 발견되면서, 겨울철새가 감염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상태이며, 철새 도래지에 대한 예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어촌공사는 당분간 저수지 예찰활동을 지속하고 위기단계에 맞춰 AI확산 예방에 적극 대처한다는 방침을 세웠으며 또한, 전국 저수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정부 및 지자체, 방역당국과 협조해 현장 방역 활동을 강화키 위해 지난 23일 오전 경기도 의왕시 본사에 ‘AI 방역지원상황실’을 설치, 운영에 들어간 상태이다.
이종팔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