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시민들의 가장 사랑을 받고 있는 교통수단은 버스이다. 그렇기에 당국도 업자가 버스를 운행하면서 노선에 따라서 적자가 발생하면 이게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악영향을 줄 것을 염려하여 일정 부분 예산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예산이 투입된다면, 가장 중요한 대목은 버스운영의 투명성이 담보되어야만 한다. 그럼에도 예산 지원을 받는 일부 버스회사가 운영의 투명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면, 이는 예산의 낭비로까지 이어지게 될 수도 있다.
버스회사에는 투명경영을 위하여 감사가 있다. 이 감사직이 감사만 잘만 한다면, 어느 정도 투명성이 담보하는 쪽으로도 갈 수가 있다. 그러나 이를 감사하는 직책을 맡은 자도 일부 운영책임자의 그 일가나 친인척으로 구성이 되었다면, 이는 하나의 족벌체제에 서민의 발과 예산이 묶여 있다고도 해야 한다. 이는 바로 예산지원까지 서로가 감싸고서 온갖 부정을 눈감고 있는 게 아니가 하는 의혹의 눈초리를 받기 십상이다.
우선 경북도와 일선 시ㆍ군이 시민들의 발을 운영함에서 지원하는 예산을 보면, 경북도가 지난해 시외버스에 재정 지원금 89억4,400만을 지원을 비롯하여, 23개 시ㆍ군에 97억4,400만 원을 지원했다. 또 벽지 손실 보상금 19억3,700만 원 등 총 205억9,188만 원을 시내ㆍ외 버스회사에 지원했다.
이 지원금이 어디로 쏠렸는가를 또 보자. 경북관내 전체 시외버스 1,055대 가운데 83.6%인 883대가 특정 인맥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예산 지원금도 이와 같이 쏠림현상을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또 동일인이 운영하는 몇 개 회사의 버스가 220대이다. 그리고 몇 개의 회사에서는 354대이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특히 경북지역 시내버스 3개사도 함께 운영하는 어느 경영진은 한 사람을 중심으로 친인척이 회사를 장악하고 있다. 일부 여타 회사도 설립자의 직계 가족, 친인척 등이 경영을 틀어쥐고 있다. 더구나 일부 회사는 감사까지 온통 친인척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형편이다. 이를 두고서는 예산을 지원받는 버스회사의 경영 투명성이 없다고 봐야할 근거가 아닌가.
하다못해 버스업계 관계자도 시내ㆍ외버스의 족벌경영은 고질적인 문제로써 관계당국의 개혁 의지가 절실하다. 이어 보조금 지원 때에 철저한 감사를 거쳐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 말은 버스 관계자의 말이니, 설득력이 있다고 봐야 한다.
이제 경북도가 시내ㆍ외 버스에 시ㆍ도민이 낸 세금으로 시ㆍ도민의 발인 버스 운영을 지원할 때에 어떻게 감사를 했는지를 시ㆍ도민에게 공개해야 한다. 위의 버스 관계자의 말과 같이 현재도 유효한지를 밝혀야 한다. 경북도가 감사를 하되 만약에 수박 겉핥기식으로 하지 않았다면, 왜 버스 관계자의 말이 버스업계에 족벌경영의 개혁을 말하고 있는지가 무척이나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경북도가 이제부터라도 그 어떤 변명이나 해명을 하지 말고 즉시 예산 지원에 걸맞게 감사에 착수해야 한다. 그리고 일가 친인척도 쇄신하는 방책도 내놔야 한다. 그렇지가 않다면 우리가 그렇게 믿고 싶지는 않으나, 예산만 낭비하고 비례적으로 시민들의 불편만 가중하고 만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