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들은 대학졸업하고 다 돈벌러 서울로 대구로 대도시에 떠나 살고 있지요.. 아들 딸 합쳐 3명 되지만 애들이 어른되서는 같이 산적은 없습니다, 부부 둘이 사는게 편하지요". 올해로 20년째 자녀와 떨어져 살고 있다는 김모(68·경주시)씨 부부의 말이다.
이처럼 지역의 노년가정에는 `나 홀로 노인가족, 노부부 2인가족` 등 초미니 가족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통계조사에서도 경북지역에는 60세 이상 고령자 10명 가운데 8명이 자녀와 떨어져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동북지방통계청의 2013 경북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자녀와 같이 살고 있지 않은 경북지역 고령자는 80.8%로 2011년 78.4%보다 2.4%p 늘었으며 전국 평균인 67.8보다 무려 13%p나 높았다.
이는 자녀 결혼 등 분가에 대한 직접적인 이유보다 `자녀의 직장·학업 때문에 같이 살지 않는다(26.5%)`가 가장 큰 이유로 집계됐다. 또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25.7%)`, `독립생활이 가능해서(25%)` 의 비중도 높아 자발적인 의사 선택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목할 만한 점은 고령자의 75.8%가 스스로도 자녀와 같이 사는 것을 꺼려한다는 것이다.
60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향후 `자녀와 같이 살고 싶은지` 여부를 묻는 조사에서 75.8%가 `같이 살고 싶지 않다`고 응답했다. 이는 2011년 69.9%보다 5.9%p 높아졌고 전국 평균인 73%보다 2.8%p 큰 수치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장래 살고 싶은 곳’으로 부부 2명이 거주하는 자기집(85.9%)이 가장 많았다. 또 자녀와 같이 사는 것 보다는 양로원이나 요양원을 택하겠다는 응답도 10.3%, 3.4%로 각각 집계됐다.
이처럼 초고령화 사회의 진입장벽 가운데 가족구성이 빠르게 무너져가면서 고령자들의 노인 고독 문제와 노년부부 2인 단위의 기초가족화 현상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