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포항본부(본부장 손민호)는 22일 대회의실에서 포항지역 철강수출 둔화요인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날 최준 포항본부 조사역이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회복세를 보이던 포항지역 철강수출은 철강제품의 세계적 공급과잉으로 최근 들어 크게 감소하였고 엔화 약세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가격경쟁력도 약해지고 있다.
포항지역 철강수출 물량함수 추정 결과 원ㆍ엔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전국의 경우보다 더 컸고 금융위기 이전보다는 이후에 더 높아졌으며, 지난해 들어 엔화 약세가 본격화되면서 철강수출의 감소폭이 전년보다 확대됐다.
포항과 전국의 철강수출 변화를 CMS(Constant Market Share)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11년 대비 2012년 철강수출의 감소는 포항과 전국 모두 세계철강수요 둔화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국 및 경북보다 높았던 포항지역 전체 수출증가율도 2012년 하반기부터 이들 지역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2012년말 이후 엔화는 약세 기조인 반면 원화는 소폭 절상되면서 철강수출의 가격경쟁력 또한 크게 약화되고 있다.
이와관련 한국은행포항본부는 엔화 약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포항지역의 철강수출 실적도 당분간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 엔화의 실질실효환율은 90년대 중반 이래 최저 수준을 갱신한 가운데 아베노믹스의 지속, 미국 경제의 회복 등으로 인해 앞으로도 상당기간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지역 철강업계는 고부가가치 제품(고출력 레이저를 활용한 표면 개질 등) 및 신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기존 고급기술 기반 제품(초고장력 강판 등)의 신규 수요 발굴 등 신 시장 확대을 위한 노력으로 약화된 경쟁력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율동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