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차기 지도부를 구성하기 위한 전당대회 시기를 둘러싸고 당내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에는 황우여 대표 임기만료(5월 15일), 지방선거(6월 4일), 재·보궐선거(7월 30일) 등 촘촘한 정치일정을 감안해 8월에 전당대회를 치르자는 의견이 큰 흐름으로 자리잡는 분위기였다. 이러한 `8월 전대론`이 대세를 이루면서 "지방선거에 앞서 지도부를 구성하자"는 이른바 `조기전대론`은 한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그러나 비박(비박근혜)계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이 22일 공개적으로 `조기전대`를 촉구하면서 당내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다. 이 의원은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차기 전당대회를 오는 8월에 하는 것으로 굳혀져 있다는데 그 점이 우려스럽다"면서 "급변하는 정국에 대처하고자 5월 전에 조기 전당대회를 해서 새로운 집행부를 꾸리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전당대회를 거치지 않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지방선거를 치르는 방식은 지방선거 승리에 불리하다는 논리다. 비박계 재선 의원도 "지방선거가 6월 초이기 때문에 한 달에서 한 달 반 여유를 두고 전당대회를 치르는 시나리오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당내 주요 세력으로 부상한 충청권 의원들은 입장 표명을 자제하면서도 내심 `조기 전대론`을 바라는 눈치다. 지방선거에서 보수층을 결집하는 효과를 누리려면 텃밭인 영남보다는 충청 출신을 당의 `얼굴`로 내세웠을 때가 유리하다는 논리에서다. 그러나 조기전대론이 힘을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당내 주류인 친박(친박근혜)계는 `8월 전대론`을 사실상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자칫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주류 지도부의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 주자들도 힘을 실어주는 기류다. 부산시장에 출마한 서병수 의원은 회의에서 이재오 의원의 `조기전대론`을 겨냥해 "전대를 언제 하느냐는 것은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어떻게 지도부를 만드느냐는 것과 관련돼 있다"면서 "최고위원회가 심사숙고하고 당내 의견을 수렴해 정리해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지사 후보인 원유철 의원도 "지방선거 선대위를 구성해 보완적인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최연혜 코레일 사장의 `당협위원장 인사청탁` 논란과 관련해 당협 조직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른바 `대리인` 논란의 재발을 막으려면 해당 당협 운영위원회에서 당협위원장을 선출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고쳐 중앙당의 불필요한 개입을 차단하자는 것이다. 홍문종 사무총장은 `제도 보완` 방침을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