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이 충북 청원군 내수읍 초정리에 행궁을 짓고 123일간 요양을 하면서 한글창제 마무리작업을 수행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은 20일 `세종대왕의 초정행궁 발자취`를 연구한 결과 세종대왕이 초정 행차를 하고 행궁을 짓게 된 배경과 초정 행궁에서의 활동 내용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종이 안질과 욕창 등으로 고생을 하자 대신들이 초정약수를 추천했다.
세종은 1444년 2월 초정에 행궁을 짓게하고 같은해 3월과 9월 세자(문종), 안평대군 등과 함께 이곳을 방문했다.
당시 한양에서부터 초정리까지의 거리는 280리였으며, 한양∼영남대로∼죽산∼진천∼초정의 노선을 5일에 걸쳐 이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은 이곳에 머무는 동안 초정 약수를 마시고 씻는 등 치료를 했다.
특히 한글 창제를 마무리하고 대신과 주민에게 한글을 보급하는 데 힘쓴 것으로 전해졌다.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칠새`에서 `샘`이 `초정리의 약수`인 것으로 알려져 초정리의 약수와 자연환경이 세종에게 많은 영감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조사단은 분석했다.
세종은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민투표를 시행해 조세법을 개정키로 했으며 청주향교에 책을 하사하는 등 이곳에서 조선의 `르네상스`를 실천했다고 밝혔다.
초정리 행궁은 1448년 방화로 소실돼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나 `신동국여지승람` 등의 자료에 의하면 초정원 옆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어 현재의 초정약수터 주변에 있었던 것으로 조사단은 보고 있다.
조혁연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은 "세종실록 등의 문헌을 통해 세종의 발자취를 조사한 결과 궁궐에서는 한글창제를 비롯한 다양한 정책을 연구했지만, 초정리 행궁 생활을 하면서 한글창제를 마무리하고 다양한 정책을 시범 운영토록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