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20일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논란이 되는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문제와 관련, 공천제가 유지돼야 하는 불가피성을 설득하는데 집중했다.
이번 주 의원총회를 열어 기초선거 공천제를 유지하는 한편 상향식 공천의 취지를 살린 오픈프라이머리(개방형 예비경선) 도입을 당론으로 채택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하고 여론몰이에 속도를 냈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당공천제 폐지 시 부작용으로 ▲검증되지 않은 후보의 난립 ▲현역·토호세력 유리 ▲내천(內薦) 가능성 등을 열거했다.
기초선거 공천제 유지가 대선공약 폐기 논란을 불러올 가능성에 대해서도 "대선공약이니 지키느냐 마느냐의 `O.X` 여부만으로 논란을 벌일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공천제 자체가 아니라 그 제도를 운영하는 일부 정치인에게 책임이 있는 것"이라며 "공천제를 없애면 지역 토호세력이나 현역 단체장에 유리해지는 만큼 이번 지방선거부터 공천제를 폐지하려면 현역은 출마하지 않는 쪽으로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도 "기초선거 공천제를 폐지하면 위헌 소지가 있는데다 검증되지 않은 후보들의 난립으로 극심한 갈등이 우려되고 돈선거 부활과 사회적 약자의 출마 원천봉쇄 등 엄청난 부작용이 불 보듯 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설사 공약을 했어도 큰 부작용이 예상되면 대안을 찾고 국민께 솔직히 이해를 구하는 것이 용기있는 정치이자 책임정치"라고 말했다.
여권 일부에서는 당 지도부의 정당공천제 유지 방침에 대해 `불협화음`이 표면화될 것을 우려한 듯 `입단속`에 나선 모습이다.
당 비주류 중진인 이재오 의원이 전날 페이스북에서 "여야 협상을 질질 끌다가 합의가 안 된다는 이유로 `이번에는 현행대로 갈 수밖에 없다`고 선언할 것이다. 국민들은 그 속임수를 잘 알고 있다"며 당 지도부를 정면 비판하자 즉각 반박이 나왔다.
이혜훈 최고위원은 "당의 중진 의원께서 `지도부가 공천폐지 약속을 어기려고 속임수를 쓴다`고 비판했는데 유감"이라며 이 의원을 정면 비판했다.
이 최고위원은 "약속을 어기려고 속임수를 쓴다는 주장 자체가 사실과 다르고, (대안으로 검토하는) 완전국민경선제는 약속을 더 어기는 게 아니라 더 잘 지키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당 관계자는 "정당공천은 유지하자는 당내 여론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당내 일부 의원들의 `공천제 폐지` 주장이 힘을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다만 당내에서 파열음이 생기는 모양새여서 걱정되는 측면은 있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