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이 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유전자의 제어 원리를 밝혀내 비만 치료의 단서를 찾아냈다.
20일 연세대 의대에 따르면 김재우ㆍ김효정 교수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와 공동 연구를 통해 지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새로운 유전자인 `Dexras1`이 생체 내에서 지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비만은 지방세포의 과다한 분화와 에너지의 과잉공급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으로, 지방세포의 분화에는 당질코르티코이드라는 호르몬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이 호르몬의 작용 원리에 대해서는 거의 밝혀진 바가 없었는데 이번에 연구팀이 Dexras1이 당질코르티코이드의 작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실험 결과 Dexras1 유전자가 소실된 쥐는 식이량과 운동량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정상 쥐에 비해 체중이 확연히 감소했고, 내장지방과 지방세포의 크기도 줄었으며 인슐린 저항성과 혈당도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김재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비만을 비롯한 대사증후군과 스테로이드 과다에 의한 대사 불균형도 제어할 수 있는 표적물질을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