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는 것은 국민행복이다. 국민행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건강이다. 모든 것을 다 잃어도 건강을 잃는다면, 행복은커녕 일상생활도 잘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포항시의 보건행정이 이와는 반대로 간다면 정부의 방침에 역행하는 것과 같다. 지자체가 정부의 방침과 역행한다면 이를 두고서는 국민의 ‘건강행복’을 바로 챙기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지자체가 정부의 방침에서 결코 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이 같은 일을 하고 있는 지역이 바로 포항시이다. 포항시가 이렇다면 포항시민들의 건강하지 못하여 모든 것을 다 잃는 쪽으로 가기 마련이다.
포항시가 지난해 12월말에 남구보건소장의 임기가 끝났다. 끝이 났다면 응당 적당한 후임자를 새로 임명해야 한다. 포항시가 만료함에 후임자 인선작업을 실시했다. 그럼에도 적임자가 없다는 지극히 단순한 이유로 현재까지 북구보건소장이 겸임체제로 보건행정을 이끌고 있다. 따라서 남ㆍ북구 보건행정의 공백이 우려되고 있다. 우려로써 끝날 수가 없는 지경으로 볼 수가 있다. 포항시민의 건강해침이다. 지자체가 시민들의 건강을 챙겨야함에도 그렇지가 못하다면 시민의 건강행복도 따라서 불행하게 된다. 건강을 잃기 때문이다. 모든 시민들이 자기의 몸이 아프다면 보건소를 찾지 않는다고 해도 많은 시민들은 의료비가 보다 싸고 믿을 수가 있는 보건소를 찾는다. 이때에 보건소장이 없다면 보건행정의 공백으로써 시민의 건강에 공백이 생기는 쪽으로 갈 것이 지극히 뻔하다.
이에 일부에서는 남ㆍ북구보건소 추진업무가 동일하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엄격한 별개의 독립기관이다. 더구나 관할지역도 다르다. 기관장의 공석은 조직의 기강이 해이해진다고 할 수도 있다. 또한 보건행정업무추진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이보다 더 중요한 문제가 있다. 단 한명의 보건소장이 포항시민의 건강을 돌본다면 포항시민은 53만 명에 이른다. 이렇다면 보건소장 1명의 인구 부담률이 53만 명이다. 보건행정의 인구 부담률도 역시 53만 명이다. 이 같은 부담률은 가히 천문학적이다. 사람으로서 감당을 할 수가 없다. 또한 지역이 다른 2개 보건소를 소장 겸임체제로 운영하다 보면 업무에 대한 과중한 부담이 된다. 이로 인한 보건행정에 ‘피로공백’이 생긴다. 결국 그 피해와 불편은 포항시민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 포항시 관계자는 이런 문제점들을 시에서도 충분히 검토했다. 지난해 12월 남구보건소장 후임자 인선을 실시했다. 그러나 적임자가 없어 불가피하게 현 북구소장의 겸임체제로 인사를 단행했다고 한다.
이번 인사에서 대상자는 남ㆍ북구보건소 각 1명과 북구청 1명, 읍ㆍ면 1명 총 4명이었다. 그러나 정년과 자격요건 미달 사유로 발탁하지 못했다. 현행 시의 보건소장 인사방침은 전문 직렬이다. 내부인사인 경우 보건, 의료기술, 간호, 의무관련 자격증을 갖추고, 5급 사무관직을 4년 이상 수행해야 한다. 외부인사인 경우는 개방형 4급으로 반드시 의사자격증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인사에서는 외부 인사를 고려치 않았다고 밝혔다. 말을 많이 하고 있으나 여기에서 우리가 문제를 삼는 것은 보건소장이다. 시민 건강을 두고서 외부의 인사를 왜 고려하지 않았는가. 물론 외부 인사보다는 내부 인사가 좋다는 것에 동의를 한다고 해도 그렇다. 그러나 내부 인사가 없다면, 포항시민들의 건강을 위해 내ㆍ외부 인사를 가릴 것이 없어야 마땅하다.
포항시는 내ㆍ외부 인사를 가리지 말고 하루 속히 공석인 보건소장을 찾아야 한다. 보건행정에서 인구부담률이 53만 명에 달한다면 어찌 인력으로 감당을 할 수가 있겠는가. 포항시는 현재대로 올해 지방선거까지 현 체제를 유지한다고 한다. 또한 남ㆍ북구 보건소 통합 운영 방안도 검토한다고 한다. 포항시는 보건소 통합 운영을 단박에 그만둬야 한다. 인구부담률을 어찌 포항시가 모른 척한다는 말인가를 강력하게 묻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