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매체가 올해 중국과 일본 사이에 우발적인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9일 올해 전문가들의 국제정세 진단을 인용해 주변 해역이 `동긴남온`(東緊南穩:동중국해는 긴장되고 남중국해는 안정된 상태) 형국을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이 신문은 일본이 정책 중점을 경제에서 안보로 옮겨가며 동중국해 긴장을 이용한 개헌과 군사력 증강에 나설 것이라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중일의 센카쿠(중명 댜오위다오) 공동 관리`를 인정할 수 없다고 명확하게 밝힌 점에 주목했다.
특히 일본 정치인들이 중국의 동중국해 천연가스 개발에 대한 국제 중재를 요청할 것이라고 목청을 높이고 있는데다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 후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참배한 것이 중일관계에 새로운 장애물로 부상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중일관계는 단기간에 호전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으며 쌍방이 의도하지 않은 우발적 충돌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무력까지 쓰는 `오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남중국해 정세는 다소 우려스런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동중국해의 위험성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강조한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건설`과 관련해 중국과 주변국들은 긴밀히 협의하면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만들어가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남중국해에도 잠재적인 위험은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일본 등이 서로 다른 국가적 이해에 입각해 국제규정을 각기 해석하는 가운데 남중국해를 중국 견제의 요충지로 삼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는, 남북한이 서로 융통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인데다 비핵화 문제를 놓고 엄중한 대립을 하고 있어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북한에서는 지난해 장성택 실각사태 등 내부 변화가 있었고 한국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도가 최임 초 70%대에서 지난해 말 40%대로 떨어지는 등 각기 국내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면서 대외정책과 남북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의 경우는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가 다른 정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난 경험도 있어 남북관계에 있어서 돌파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걸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정은 북한 제1위원장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