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회장 정준양)가 세계 최초로 후판전용 RFID 기술 개발에 성공해 제품관리 효율화에 큰 몫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9일 포스코에 따르면 현재 포스코는 둥글게 말린 코일제품에 플래그 태그(flag tag) 형식의 RFID 태그를 부착해 제품 적재위치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판형으로 적재되는 후판제품에는 적용키 어려웠다. 광폭재 아래에 있는 협폭재의 RFID 태그 인식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후판의 위치와 재고를 파악할 때 직원이 육안으로 직접 제품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이러한 수작업은 상당한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도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잦아 물류관리 비효율성의 원인으로 꼽혔다. 포스코 뿐만아니라 타 제조기업이나 유통기지 등에서도 개선하고자 하는 점이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포스코 엔지니어링연구센터 시스템설계연구그룹은 2010년부터 기술개발에 매진해왔으며, 지난해에는 민관공동투자 기술개발에 참여해 RFID 전문기업인 인포에스티(대표 정운기)와 함께 머리를 맞댔다. 그 결과 후판 특성에 맞는 RFID 태그와 고정형 RFID 안테나, 크레인 탑재형 자동스캐닝 로봇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후판제품에 RFID 태그를 부착하면 크레인에 탑재된 자동스캐닝 로봇이 자동으로 스캔, 후판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식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광폭재와 협폭재 간 1m가량 폭 차이가 나도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사람이 후판 적재공간에 들어가 확인하지 않고도 제품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번 기술 개발로 포스코는 야드 관리 수준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납기 지연으로 인한 손실을 줄여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FID란 극소형 칩에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주파수(frequency)를 이용해 식별번호(ID)를 인식하는 시스템으로 ‘전자태그’라고도 불린다. 이율동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