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오 페치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지역센터 소장은 9일 "한국 새마을운동은 OECD가 개발도상국 지역개발을 연구하는 첫 사례"라고 밝혔다.
페치니 소장은 이날 외교부와 OECD간 새마을운동 연구협력 약정서 체결을 위해 방한,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페치니 소장은 "OECD는 그동안 핀란드나 독일 같은 선진국의 지역개발 사례를 연구했는데 이제는 개도국 지역개발이 큰 과제가 됐다"면서 "한국처럼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발전한 국가의 경험이 (연구에)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새마을운동 강점에 대해 "다른 지역개발과 달리 새마을운동은 농업만이 아닌 여러 분야에서 진행됐고 부처들 간에 적절하게 경쟁과 협력이 동시에 이뤄졌다"면서 "잘한 마을에 상을 준다거나 하는 인센티브 제도도 있었다"고 말했다.
페치니 소장은 새마을운동의 부작용에 대한 질문에는 "아직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이지만 그러한 측면도 다 연구에 포함될 것"이라고 답했다.
OECD는 앞서 지난해 하반기 새마을운동을 성공적인 농촌개발 사례로 꼽으면서 새마을운동을 연구·이론화하자는 제안을 우리 외교부에 해 왔다.
OECD 주도로 진행되는 이번 협력사업은 새마을운동뿐 아니라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성공사례로 꼽히는 개도국 지역개발 정책을 비교연구해 지역개발 모델에 대한 최종연구 보고서를 내년 9월 발간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이번 연구에서는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자본`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볼 예정"이라면서 "최종 보고서가 개도국의 균형된 지역발전과 빈곤퇴치에 도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