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세계적 최첨단 연구 인프라인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에 국비 1200억원을 확보, 사업추진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 사업은 총사업비 4260억원(국비 4000억원, 지방비 260억원)으로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Top 3수준으로 2015년 준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현재 운영 중인 3세대 방사광가속기(태양의 1억 배 밝기)보다 광원이 100억 배 밝고, 펄스폭이 1000배 짧아 1000조 분의 1초 단위(펨토초 10-15초) 시간대의 물질의 변화와 살아 있는 세포의 분자 구조를 실시간 동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최첨단 장치다. 또 방사광가속기는 단백질 구조 연구를 통한 신약개발, 고해상도 종양 촬영을 통해 암치료법 개발, 세계 최초 흡입식 신종플루 치료제 리렌자 개발 등 과학계에서 생명현상의 비밀을 푸는 꿈의 장치로 불린다. 특히 과학수사에도 활용되는데, 베토벤의 머리카락으로 사망원인 파악,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숨겨진 논문 판독 등 그 외에도 반도체 제작, 연료전지 등 친환경 미래 배터리 개발에도 활용된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미국(2 008), 일본(2010)에 이어 세계 3번째로 만드는 국가 대형연구시설의 국가 간 공유를 거의 하지 않는 최첨단 연구시설로, 영국, 프랑스, 중국, 스웨덴 등 세계 각국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독자기술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경북도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포항), 양성자가속기(경주)를 연계 첨단과학 R&DB단지인 가속기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한다. 송경창 경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은 “가속기 클러스터를 통해 신소재, 나노, 로봇, 에너지, 우주항공 산업 등의 기초ㆍ원천기술을 개발 창업을 촉진하고 신산업을 발굴해 창조경제를 지역에서 꽃 피우겠다”며 “포항가속기연구소의 국립 연구기관 전환을 통해 동해안 연구개발특구 지정도 병행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발전 방안을 더욱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영길기자 sinyk@ksmnews.co.kr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