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가운데 4명은 인체조직기증과 장기기증이 같은 것이라고 오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는 지난달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지도가 39.1%로 나타났다.
인체조직기증이란 세상을 떠난 직후 피부, 뼈, 혈관, 심장판막 등을 기증하는 것으로, 기증자 1명당 수혜자가 최대 100명까지 이를 수 있다.
본부에 따르면 이번 인체조직기증 인지도는 장기기증(99.3%), 조혈모세포 기증(87.1%) 등의 인지도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치였다.
특히 응답자의 39.2%는 인체조직기증과 장기기증을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생전에 인체조직기증을 약속하는 ‘희망서약’ 대해서는 44.3%가 긍정적으로 응답했고, 부정적 11.7%, 보통 44%로 나타났다.
인체조직기증에 대해 모르고 있는 사람들보다 알고 있는 사람들이 더 희망서약에 긍정적이었다.
박창일 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이사장은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장기기증과 구분해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며 “정부,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