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6일 취임 후 행한 첫 신년기자회견에서 개헌과 개각 그리고 특검 도입 등 정치분야 핫이슈들에 대해 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발표한 2014년 신년구상에서 `경제활성화ㆍ정상화개혁ㆍ남북관계 및 안보` 등 신년사에서 밝힌 국정운영 3대 기조를 자세하게 설명하는데 대부분을 할애했다. 정치 현안에 대한 언급은 기자들과의 질의ㆍ응답에서 집중적으로 나왔다. 박 대통령은 먼저 야권이 요구하는 특검도입 요구에 대해서는 "현재 재판 중인 사안이기 때문에 대통령으로서 이 문제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긍정이나 부정 등 어떤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명쾌한 답변을 비켜간 셈이다. 그러나 앞선 발언을 보면 부정 쪽에 가깝다는 해석이 나온다. 박 대통령은 특검 도입을 거론하며 나온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관련 질문에 대해 "지난 일년간 이 문제로 인해 국론이 분열되고 국력이 소모된 것을 정말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야권과 시민단체의 문제 제기로 국론이 분열되고 국력이 소모됐다는 언급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대목이다. 박 대통령은 이어 "국회 시정연설에서 여야가 충분히 논의해 합의점을 찾아준다면 국민 뜻으로 알고 받아들이겠다고 했고 다행히 연말에 여야가 관련 법률을 개정했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그런 잘못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원천적으로 차단이 됐다"고 지적하고, "이젠 소모적인 논쟁을 접고 우리가 함께 미래로 나갔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개헌 논의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은 "지난해를 돌아보면 국정원 댓글사건이나 이런 것으로 1년이 다 갔다"며 "개헌이라는 것은 워낙 큰 이슈이기 때문에 이게 한번 시작이 되면 블랙홀처럼 모든 것이 다 빠져들어서 이것저것 (해야) 할 것을 (해)낼 수 없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경제회복의 불씨가 조금 살아나서 경제가 궤도에 오르게 해야 할 시점에 이런 것으로 또 나라가 다른 생각없이 여기에 빨려들면, 이 불씨도 꺼지고 한 번 살려내기도 힘든데 경제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이어 "올해는 다른 생각을 말고 이 불씨를 살려내 확실하게 한 번 경제회복을 시키고 국민소득 3만달러, 4만달러 시대 열어가는 기틀을 만들어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해 적어도 올해는 개헌에 부정적 입장임을 확실하게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언론에서 제기됐던 개각 논의에 대해서도 "현재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 "집권 2년차를 맞아서 정말 할일이 너무 많다. 1초도 아깝다. 정부 전체가 힘을 모아서 국정수행에 전력투구를 해야 할 시기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내각이 흔들림없이 맡은바 업무에 전념할 때라고 생각한다"면서 "과거를 보면 정국전환이나 분위기 쇄신 수단으로 개각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지만 저는 국가를 위해 이런 이벤트성 개각을 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과거 정부때는 많은 언론에서 너무나 장관교체가 잦아 국정공백이 심각하다는 비판들을 많이 하셨죠?"라고 반문하고 "그 비판이 맞다고 생각한다. 우리 장관들도 개각설이 또 나오지 않도록 더욱 열심히 일해주시리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특히 여야 정치권에서 공히 추진되고 있는 개헌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또 야당이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특검도입 문제는 당분간 계속해서 논란의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개각설은 당분간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으로 관측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