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거취약계층을 위해 맞춤형 주거복지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복지사업은 기업, 기관ㆍ단체 등의 지원을 받아 노후주택을 무상으로 수리해 주는 ‘同苦同樂, 1,0 00개의 약속(사랑의 1000호 집수리사업)’과, 저소득계층의 자립을 지원하는 다양한 복지사업으로 주거안정을 도모하는 ‘행복둥지 만들기 사업’등이다.
또한 지역의 개인, 기업, 기관ㆍ단체, 공공기관 등이 직접 집수리에 참여하거나 현금지원 등을 통해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여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이 거주하는 노후주택의 주거생활 필수시설을 수리해 주는 사업이다.
특히 올해는 참여 기업, 기관ㆍ단체와 노후 지역 간 결연을 추진해 계속적인 집수리 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며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복지사업으로 ‘행복둥지 만들기 사업’에 2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15년 이상 경과된 영구 임대주택의 노후 시설물을 교체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절감형 기기를 보급하는 노후 공공임대주택 시설개선(그린홈) 사업 저소득층에게 임대보증금의 일부를 지원하는 ‘영구임대아파트 임대보증금 무이자 지원 사업’1억 5천만 원을 투입해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저소득층이 현 생활권 내에서 희망하는 주택을 원하는 시기에 입주가 가능하도록, 기존 다가구나 원룸 400호를 매입 또는 전세 계약한 후 저렴하게 재임대해 기존주택 매입(전세) 임대사업을 국민주택기금과 기금융자금 등 252억 원을 투입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대구시는 이 밖에도 중위소득 43% 이하의 저소득층에게 매월 임차료를 보조하는 ‘주택바우처제도’가 원활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오는 10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대구시 김종도 도시주택국장은 "어려운 주거환경에서 고생하는 시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해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시민 행복 도시로 나아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시민, 기업, 기관ㆍ단체 등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조영준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