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6일 오전 내외신 기자회견을 한다. 집권 2년차에 접어들어 하는 기자회견인 만큼 임기 1년을 평가하고 그 토대 위에서 새로운 국정운영 구상과 중장기 청사진을 국민에게 직접 제시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 2월 25일 취임사에서 새 정부 5년의 국정 비전을 제시했다면 6일 기자회견에서는 나라 안팎의 달라진 여건에 걸맞은 현실성있는 약속을 내놓아야 한다.
박 대통령은 작년 3월 4일 국회의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를 당부하는 대국민 담화를 한 차례 발표한 적은 있으나 기자회견을 하는 건 취임 이후 처음이다. 무엇보다 기자들과의 질의 응답을 통해 시중 여론을 가감없이 전해 듣고 흉중에 담긴 말을 기탄없이 쏟아내 국민과의 거리를 좁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작년 취임사에서 박 대통령이 제시한 키워드는 경제부흥과 국민행복, 문화융성이었다. ‘제2 한강의 기적’을 만드는 도전에 나서겠다는 다짐도 했었다. 하지만 작년 한해 우리 정치는 온통 대선을 둘러싼 시비로 허송했다.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과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논란 등 `과거`에 발이 묶여 한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바람에 대통령이 약속한 ‘희망의 새 시대’는 국민이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구호에 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집권 2년차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어떤 국정 화두를 제시할지 국민의 기대가 여간 큰 것 같지가 않다.
기대가 크고 갈 길이 바쁘다는 이유로 현실을 도외시하고 장밋빛 전망을 제시하는데 치중해선 안 될 것이다. 취임 때의 약속인 국민 모두가 행복한 ‘희망의 새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공약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 이유를 명확히 밝히고 국민의 이해를 구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서민과 청년층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경제활성화, 일자리 창출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책이 제시돼야 한다. 기초노령연금 공약의 수정을 둘러싸고는 주무부처 장관이 취임 7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물러나 혼선이 빚어졌던 만큼 복지 정책의 비전도 새로 내놓는 것이 책임있는 자세다. 북한은 신년사에서 남북관계 개선 필요성을 공개 거론했지만 1∼3월 대남 도발 가능성도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 도발 대비에 한치의 빈틈을 보여서도 안되겠지만 꽉 막힌 남북관계를 개선할 방안을 선보이는 대승적인 접근도 요구되고 있다.
그동안 비정상의 극치를 보여 온 정치를 정상화할 해법 제시는 여느 정책 못지 않게 절실하다. 새해 들어 공개된 언론사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첫해 국정운영에서 가장 아쉬움을 남긴 점으로 소통부족이 꼽혔다. 청와대는 수긍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불통’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유를 곰곰 짚어볼 필요가 있다. 온 국민의 지지를 등에 업고 집권 2년차 국정운영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서도 불통 논란을 털어내는 것은 긴요한 일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신년 기자회견이 막힘없는 소통을 이어가는 대통령의 달라진 모습을 대내외에 과시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
지난주 청와대 신년 인사회에서 박 대통령은 “지난 10개월간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 국정운영은 2인3각, 3인4각 경주와 같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면서 “정부가 아무리 바쁜 걸음으로 달려가려고 해도 국회든 지자체든 어느 한 곳이라도 속도를 늦추거나 멈춰버리면 모두가 한 걸음도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고 했다. 발을 묶고 함께 뛸 때는 호흡을 척척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지 못해 자빠진다면 어깃장을 놓는 쪽의 책임이 더 크긴 하겠지만 ‘상생’을 이끌지 못한 쪽도 온전히 책임에서 자유롭다고 볼 수는 없다. 이제 느슨해진 끈을 다시 조이고 청와대와 정부, 여야가 일심동체로 달릴 각오를 보여주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때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