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지자체를 불문하고 국비가 제대로 확보되어야만 그 지자체가 사업을 함에 있어 안정적이고도 지속적으로 할 수가 있다. 국비가 없다면, 그 지역의 주민들도 사업으로써 삶의 질을 보다 높일 수가 없는 법이다.
포항시가 이런 측면에서 다른 지체보다 보다 많은 국비를 확보함에 따라 포항시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이 순항하게 되었다. 삶의 질도 따라서 높아지게 되었다. 그것도 2년 연속적으로 국비확보가 1조2,755억 원이 확보됨에 따라 포항시민들의 숙원이었던 모든 사업이 지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가게 되었다. 국비 확보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던 지난해 1조1,781억 원보다 8% 늘어난 규모로써 2년 연속 국비 1조원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12월 31일에 국회에서 의결된 2014년도 정부예산 편성내역을 보면, 정부의 복지분야 예산 대폭 증가와 SOC사업 구조조정 분위기 속에서도 포항시 국가지원예산은 오히려 증액되었다. 이는 국비확보를 위한 지자체와 정치권 노력의 결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포항시와 지역출신 정치인들의 노력 끝에 이룩한 성과이다. 포항시가 주민들의 오랜 숙원을 풀기 위한 노력으로 거둔 성과이다. 또한 포항시와 정치권이 손을 맞잡은 것이 적중했다. 이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은 KTX 개통관련 사업이다. 이 예산이 전액 반영되었다. 원래의 계획대로 올해 말 개통되게 되었다. 그리고 포항~울산 고속도로, 동해 중ㆍ남부선 예산도 확보되었다.
예산편성에서 집중과 선택에서 늘 뒤로 밀리기만 했던 송도해수욕장과 영일대해수욕장을 연결하는 국지도 20호선(효자~상원) 4차로 확장을 위한 설계비 5억 원도 반영되었다. 이로써 이곳이 관광 명소화 개발에 탄력을 받게 되었다.
국비확보에서 중요한 것을 살펴보면 환동해권 경제허브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사업으로 포항~울산 간 고속도로 2,425억 원,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98억 원, 동해남부선(포항~울산) 복선전철화 4,014억 원이다. 이는 포항시가 미래 지향적인 발전을 위한 사업으로써 이제야 국비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밖에 동해중부선(포항~삼척)철도건설 2,024억 원, 포항 영일만항 건설 648억 원, 영일만항 인입철도 100억 원, KTX 포항직결노선 건설 마무리 사업비 194억 원이 편성되었다. 포항시가 과학으로써 미래 먹을거리인 첨단과학 인프라 사업으로는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설 1,200억 원, 제3세대 방사광가속기 공동이용 연구 331억 원, 막스플랑크 한국연구소 설립ㆍ운영 40억 원, 수중건설로봇 기술개발사업 70억 원 반영이다. 포항시가 바다도시이기에 수중로봇 사업이 단연 눈에 띈다. 해양ㆍ문화ㆍ관광 명품도시 조성을 위해 신라문화 탐방 바닷길 조성사업에 50억 원, 포항 중앙도서관 건립 24억 원, 포항구항 오염해역 개선 10억 원, 송도백사장 복구사업 43억 원을 확보했다. 송도백사장 복구사업은 포항시의 바다 모습을 완전히 바꿀 것이다.
지난해 포항시가 2년 연속 국비 1조원 시대를 목표로 박승호 시장이 기획재정부를 방문하는 등 중앙부처와 국회를 수시로 방문하는 전 방위 노력을 다했다.
여기에다 지역출신 정치인 이병석 국회부의장은 국토해양위원장 등 오랜 경험을 토대로 정부예산안 심의단계에서부터 편성 때까지 적극적으로 펼친 결과물이다. 이병석 국회부의장의 맹활약이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는 후문이다. 또한 박명재 국회의원도 지역현안사업 국비확보에 힘을 보태었다.
박승호 포항시장은 “주요 SOC사업들이 이번에 대부분 반영되었다. 국토 균형발전과 포항시 발전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자평했다. 포항시장의 이 같은 말에 시민들은 많은 기대를 걸고 있을 것이다. 국토의 균형 발전은 말할 것도 없고, 나아가 포항시의 고른 발전에 박승호 시장은 국비를 적기에 알맞게 써야할 것을 주문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