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미래경제 창조와 국민행복이다. 이 같은 것은 우선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안정적인 국비확보이다. 국비가 확보되지 못한다면 도민들의 행복을 위한 노력도 헛방을 짚는 것과 다름이 없다고 하겠다. 그러나 경북도가 국정과 함께 가는 것에 초점을 맞춤에 따라 올해 국비확보가 순항했다.
지난 1일 확정된 정부예산을 보면 경북지역투자 국비예산 규모가 역대 최고인 10조 2,637억 원(전년도 9조 393억 원 대비 1조 2,244억 원 증액, 13.5%)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국비 확보는 민선 4기초의 2조원보다 5배나 증가한 규모이다. 따라서 광역SOC 인프라 구축과 미래 첨단과학 산업육성, ICT를 접목한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도청이전 명품 신도시 조성 등 그동안 경북도가 온 행정력을 다하여 추진한 각종 사업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
특히 올해는 정부 복지예산 확대 반영에 따라 국비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실정이었다. 정부의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과 신규사업 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동서5축(보령ㆍ울진) 고속도로 건설 등 66건 1,219억 원이 반영되었다. 앞으로 모두 23조 9,418억 원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가능해졌다. 경북도가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경북도의 주요 신규 사업을 살펴보면, 동서5축 고속도로(보령ㆍ울진) 10억 원, 신라왕궁(월성) 복원 50억 원, 울릉공항 및 일주도로 개량 25억 원, 독도입도지원센터 30억 원, 대형수리모형 실험시설 20억 원, 경산지식산업지구 간선도로 38억 원, 2014 해양실크로드 글로벌 대장정 15억 원, 북부권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건설 24억 원, 차세대 해양수중 글라이더 운영지원센터 조성 5억 원, 창조 미디어랩 설립 5억 원 등이다. 더하여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과 지방 공약사업을 연계했다. 따라서 동해안 고속도로 등 10건 3,536억 원이 반영되었다. 정부의 창조경제 산업과 문화융성 시대를 선도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어느 지자체든 그 어떤 사업이든 국정과 함께 하지 못한다면 그 지역은 미래창조도 없고 문화융성도 없다고 볼 수가 있다. 경북도가 정부의 방침을 미리 살펴서 이룩한 국비 확보이다. 이렇게 볼 때에 경북도의 행정이 바로 갔다고 평가한다.
눈에 띄는 주요 사업은 남북7축(영덕ㆍ포항ㆍ울산) 고속도로 2,523억 원, 동서5축(봉화 울진) 국도 확장 1,002억 원, 영천 항공전자 시험평가구축 30억 원, 제4세대 방사광 가속기 건설 1,200억 원, 3대문화권 문화ㆍ생태관광 기반 조성 987억 원, 신라왕궁(월성) 및 황룡사 복원 85억 원, 경북도 본청 및 의회청사 건립 493억 원 등이다. 상주ㆍ영천 간 고속도로 건설 100억 원(4,013→4,213억 원), 동해중부선(포항ㆍ삼척) 철도 부설 100억 원(1,924→2,024억 원),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설 100억 원(1,100→1,200억 원), 전자의료기기 부품소재 산업화 30억 원(93→123억 원), 지방하천정비사업(11개 지구) 128억 원(125→253억 원), 세계 군인체육대회 44억 원(108→152억 원) 등이다.
경북도의 위 같은 국비확보의 배경을 보면 정부예산 심의과정에서 김관용 도지사, 이병석(포항 북구) 국회 부의장, 이철우(김천) 새누리당 도당위원장, 김광림(안동) 예결특별위원회 간사가 기재부 장관을 직접 방문했다. 방문한 이유는 경북도의 SOC는 최소한의 도민 복지다. SOC예산을 줄이는 것은 경북도민을 또 다시 벼랑 끝으로 내모는 일이다.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특별한 배려를 당부하는 등 노력의 결과였다.
경북도의 지사의 국비확보 노력은 말할 것도 없다. 국회의원은 국정에도 온 힘을 다해야 하나 출신 지역구의 현실도 살펴봐야 한다. 자기의 정치적인 고향의 실정도 모른 척 한다면 정치인으로서 안 되는 일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에 김관용 도지사와 정치인의 맹활약으로 인한 국비확보는 경북도민 300만 명의 숙원을 시원히 풀어준 것이다. 이 국비로써 미래창조 경제 발전과 더불어 국민행복시대가 활짝 열리게 되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